이낙연 "MB 불법사찰, 덮고 넘어갈 수 없는 중대범죄"
민주당, 불법 사찰 관련 정보공개 결의안 추진
이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명박 정부인 지난 2009년 18대 국회의원 전원과 법조인, 언론인, 시민단체 인사 등 1천명의 인사 동향을 파악한 자료가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자료에는 돈 씀씀이 등 사생활까지 담겨 사찰이 이뤄진 것으로 보여져 충격적"이라며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검찰, 국세청, 경찰 등으로부터 정치인 관련 신원정보 등을 파악해 국정원이 관리토록 요청한 사실도 드러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야당은 선거를 앞두고 꺼내든 정치공세용 카드라고 주장하나 대규모 불법 사찰이 드러났어도 선거가 임박했으니 덮으라는 것이라면 야당의 그런 태도야말로 선거를 의식한 정치공세가 아니고 무엇인지 되묻고 싶다"며 "불법 사찰은 개인의 기본적 자유를 침해하는 민주주의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국회 정보위원장인 김경협 의원도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불법 정보들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심각하다"며 "인사에 쓰기 위한 세평 정도면 불법 사찰이라고 보긴 어려우나 실질적으로 수집방식이나 의도, 이걸 어떻게 활용했는지 이런 것들에 대한 진상규명이 이뤄져야 한다"고 가세했다.
김 의원은 "(불법 사찰을 지시한 대상이) 일단 (이명박) 청와대의 지시에 의해서라고 나와있다"며 "박근혜 정부 때도 이걸 중단시켰다고 하는 메시지가 안 보이는 만큼 실제로 그 이후까지 계속 이뤄진 것이 아니냐고 추정할 수 있다. 이 부분도 확인을 해봐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민주당 소속 국회 정보위원들은 지난 10일 '국가정보기관의 사찰성 정보공개 촉구 및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특별 결의안' 발의 준비에 착수했다. 결의안은 오는 16일과 17일에 열리는 전체회의에서 의결에 부쳐질 예정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