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여당, 국민의힘의 '프레임' 지침에 "대국민 사과하라"
정세균 "차라리 가짜뉴스였으면 좋겠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3일 페이스북을 통해 "맥이 풀리는 보도를 보고 말았다"며 "야당이 정책 토론을 해도 모자랄 시간에 정쟁의 프레임을 덧씌우겠다는 가이드라인을 자당 의원들에게 배포했다는 내용"이라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코로나로 근심에 빠진 국민들을 위한 질의도 아닌 오로지 정쟁과 분열의 프레임으로 가득하다"며 "정말 믿고 싶지 않다. 차라리 이 보도가 가짜뉴스였으면 좋겠다. 정부는 국회에서 국민을 위해 의논하고 토론하고 싶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신동근 최고위원도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국민의힘이 대단한 착각에 빠져있음을 확인하고 보수혁신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고스란히 드러냈다"며 "성폭행 프레임도 이제 과유불급이 될 수 있음을 깨달아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걸 계속 끌고 나간다면 지나치다는 평가를 받아 역효과를 불러 일으킬 것"이라며 "국민의힘 대정부질문의 가이드라인은 보수 혁신 실패를 정식하는 문서다. 우리 정치의 진전을 생각하면 참으로 불행한 일"이라고 개탄했다.
강선우 민주당 대변인도 브리핑을 통해 "아들을 낳은 후궁, 집단적 조현병, 북풍공작, 이적행위, 한일 해저터널, 'v' 음모론, 이제는 성폭행 프레임 씌우기 지침 하달까지 나왔다"며 "충격과 경악은 오롯이 국민 여러분의 몫"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지도부의 지침에 따라 양심과 상식을 버리고 앵무새처럼 프레임 씌우기만 반복해야 하는 국민의힘 의원들이 불쌍할 지경"이라며 "국민의힘은 정부에게 질문을 할 국민의 권리를 이용해 오히려 정부에게 프레임 씌우기만 시도했다는 사실에 대해 국민 앞에 진심으로 사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국민의힘 원내행정국은 '대정부질문 사전전략회의 관련' 보고서를 만들어 질의에 나서는 당 소속 의원들에게 배포했다. 해당 문건에는 반기업, 반시장 경제, 반법치주의, 성폭행을 들며 '질문자 4인 질문 시작부터 결론까지 일관된 프레임 씌우기 전략을 구사한다'는 문구가 적시돼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