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원 "文 3년, 서울 6억이하 아파트 절반이상 소멸"
"9억이상 아파트는 2.5배 급증", 김상훈 "집값폭탄 서울에 투하"
21일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이 정부 공식기관인 한국감정원에서 제출받은 ‘2017년 5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서울아파트 매매 시세현황’에 따르면, 서울내 시세 6억 이하 아파트 비율이 문 대통령 취임월인 2017년 5월에는 67.3%였으나 3년여가 지난 2020년 6월 현재 29.4%로 급감했다.
반면 시세 9억 초과 아파트의 경우 15.7%에서 39.8%로 그 비율이 2.5배 가량 늘어났다.
아울러 15억을 넘는 초고가 아파트 비중 또한 3.9%에서 15.2%로 늘어났다.
자치구 중 6억 이하 비율이 가장 크게 줄어든 곳은 강동구였다. 2017년 5월 시세 6억 이하 아파트가 74.9%에 달했지만, 2020년 6월 현재 8.9%로 급감했다. 그 사이 9억 초과 아파트는 0.4%에서 49.0%로 폭증했다. 3년전 강동구 내 10집 중 7집이 6억 아래였지만 지금은 10집 중 1집도 안되고, 절반이 9억대를 넘어선 것.
강북도 마찬가지여서, 성북구의 경우 97.0%에서 33.6%로 대폭 줄었고(9억 초과 0%→11.3%), 동대문구는 88.9%에서 26.0%로 축소됐다(9억 초과 0%→20.9%). 서대문구 또한 88.6%에서 26.5%로 쪼그라들었다(9억 초과 0.3%→26.0%).
‘마용성’에 속하는 마포구의 경우 6억 이하 아파트가 2017년 5월 당시 54.3%였으나, 2020년 6월에는 6.1%에 그쳤다. 반면 9억 초과는 7.1%에서 61.3%로 늘어났다. 성동구 또한 60.6%에서 2.4%(9억 초과 5.0%→65.6%)로 줄었다.
강남지역은 15억 초고가 아파트가 급증했다. 강남구는 15억 초과 아파트가 26.8%였으나 2020년 현재 73.5%로 높아졌으며, 서초구도 22.4%에서 67.2%로 확대됐다. 송파구 또한 5.3%에서 43.1%로 늘어났다.
김 의원은 "지난 3년여간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모르겠다. 가히 ‘집값 폭탄’이 서울에 투하된 셈”이라며 "문 정부의 설익은 부동산 대책이 실수요자의 주거사다리를 걷어차다 못해 수리 불가능 수준으로 망가뜨려 놓았다. 차라리 ‘무대책’이 집값 억제에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라고 비꼬았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