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4일 윤석열 검찰총장의 '권력형 비리에 당당히 맞서라'는 발언에 대해 공식언급을 삼가면서도 의원들은 "정치적 선언"이라고 윤 총장을 비난하며 반발했다.
신동근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윤석열 검찰총장이 검찰 개혁 반대를 넘어 사실상 반정부 투쟁 선언을 했다"며 "어제 신임검사 임관식에 윤 총장은 '민주주의라는 허울을 쓰고 있는 독재와 전체주의를 배격'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재인 정부를 겨냥한 극언이라고 해석할 수밖에 없는 발언"이라고 강력 반발했다.
대표적 친조국인 김용민 의원도 이날 JTBC <아침&>과의 인터뷰에서 "정치적인 어떤 선언을 하는 느낌일 수 있었다라는 생각이 든다"며 "검찰총장이 사건에서 실체적 진실을 발견하라는 주문을 하지 않고 헌법적 가치에 대해서 얘기하면서 민주주의를 마치 검찰이 수호하는 것처럼 얘기하는 것은 지금 좀 앞뒤가 맞지 않지 않는 얘기지 않는가. 선후가 바뀐 것"이라고 비난했다.
신정훈 의원도 페이스북에 올린 '정치인이 되어버린 윤석열 검찰총장'이란 제목의 글을 통해 "이제는 정치인이 되어버린 윤석열 검찰총장이 신임 검사들에게 한 말이 예상한대로 화제가 되고 있다"며 "미래통합당이 '칼잡이의 귀환'이라며 반색을 하고, 보수언론들은 '권력에 맞서라'며 맞장구 치고 있으니 역시 ‘정치인이 되어버렸다’는 말도 썩 틀린 표현은 아닌 것 같다"고 비판했다.
그는 특히 "‘자유민주주의는 법의 지배로 이루어진다’는 그 과감한 발상은 매우 충격적이었다"며 "민주주의 사회에서 개인을 지배하는 것은 오직 양심이고 사회를 지배하는 것은 상식이다. 법은 다만 그 양심과 상식의 경계를 정하기 위한 도구일 뿐이죠. 그런 이유로 법률가가 아닌 일반인의 입장에서 ‘법의 지배’ 같은 무서운 말들은 꽤나 위험하게 들린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유기홍 의원은 역시 페이스북에 “정작 이는 윤 총장 본인에게 해야 할 말이 아닌지 모르겠다”며 “독재와 전체주의는 검찰권을 남용해 정치에 개입하고 검찰의 집단 항명을 이끌려 한 윤 총장 본인의 자화상일 뿐”이라고 비난했다.
정부여당 검찰개혁을 주도해온 박범계 의원도 전날 밤 트위터를 통해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 칼잡이 윤석열의 귀환을 환영한다’는 김은혜 미래통합당 대변인 논평 보도를 링크시킨 뒤, “윤 총장의 발언이 통합당에서 대환영 받는 이 상황을 정치적으로 중립성이라 할 수 있나? 전체주의ㅡ전국 검사장들을 일렬 대오로 세우는 건 자유주의인가?"라며 "권력형 비리에서 검찰 권력의 비호는 제외한단 말”이라고 윤 총장을 비난했다.
반면에 원내대변인인 홍정민 의원은 KBS라디오 <최강시사>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상황에 대한 심정이라기보다 검사들이라면 당연히 간직해야 될 자세에 대해서 원론적으로 언급한 내용이라고 충분히 볼 수 있다"고 즉각적 대응을 피했다.
나라의 녹을먹고 나라의 세금으로 월급을받는분이 독재를 운운하다는것이 참으로 자기 스스로를 부정 한다는것이고 정치를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정말 그렇다면 사나이답게 옷을 벗고 정치를 해야하는데 정말 비겁하네요. 정권에서 짤라주기바라며, 정권에 의해서 핍박받았다고 쇼할려고 할모양이네요. 수장이 그러는 사이에 조직은 국민들로부터 요원히 신뢰를 잃어 버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