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갤럽] 49% "내년 재보선때 야당 뽑아야"
'정부견제론' 급확산...文대통령 5개월만에 '데드크로스' 발생
특히 서울시장-부산시장을 새로 뽑는 내년 4월 재보선때 '정부 견제를 위해 야당후보가 당선돼야 한다'는 정부견제론이 절반에 육박, 부동산정책 실패와 박원순 성추행 등에 따른 민심이반이 심상치 않음을 보여주었다.
24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21~23일 사흘간 전국 18세 이상 성인 1천명을 대상으로 문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 전주보다 1%포인트 추가하락한 45%로 나타났다.
반면에 부정평가는 5%포인트 급등한 48%로, 긍정평가를 앞지르며 지난 3월 첫째 주 이후 거의 5개월 만에 데드크로스가 발생했다.
7%는 의견을 유보했다(어느 쪽도 아님 3%, 모름/응답거절 4%).

연령별 긍/부정률은 18~29세(이하 '20대') 43%/46%, 30대 49%/44%, 40대 55%/39%, 50대 43%/51%, 60대+ 38%/54%다.
전주와 비교하면 20대에서는 지지율이 36%에서 43%로 반등했으나, 핵심지지층인 30대에서는 53%에서 49%로, 40대 역시 59%에서 55%로 하락했다. 50대도 46%에서 43%로 낮아졌다.
현재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무당(無黨)층에서는 부정률이 크게 앞섰다(긍정 26%, 부정 57%).
직무 수행 부정 평가자는 부정 평가 이유(478명, 자유응답)로 '부동산 정책'(35%), '경제·민생 문제 해결 부족'(12%), '전반적으로 부족하다'(11%), '북한 관계'(6%), '독단적/일방적/편파적'(5%), '세금 인상'(3%) 등을 지적했다.
3주째 부동산 문제가 부정 평가 이유 1순위에 올라 있으며, 비중도 더 커졌다. 7·10 대책 발표 직전 조사에서 시민 64%가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했으며, 61%는 향후 1년간 집값이 상승하리라 전망했다고 <한국갤럽>은 덧붙였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41%로 전주보다 3%포인트 반등했다. 문 대통령 지지율 45%에 바짝 다가선 것.
미래통합당 지지율도 2%포인트 상승한 23%로 나타났다.
이어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無黨)층 23%, 정의당 7%, 국민의당 3%, 열린민주당 2% 순이며 그 외 정당들의 합이 1%다.
이처럼 정당 지지도는 민주당이 여전히 크게 앞서나, 내년 4월 재보선에서는 정부 견제론이 급증했다.
내년 재보궐선거와 관련해 어느 쪽 주장에 더 동의하는지 물은 결과 '현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여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는 37%에 그친 반면, '현 정부를 견제하기 위해 야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가 49%로 절반에 육박했다. 14%는 의견을 유보했다.
특히 야당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이 광역단체장 재보선이 치러질 서울(55%)과 부산/울산/경남(52%)에서 과반에 달해 정부여당을 긴장케 했다.
연령별로도 40대에서만 여당후보 지지가 52%로 과반에 달했고, 나머지 연령에서는 모두 야당후보 지지가 크게 높았다.
<한국갤럽>은 "이는 지난 4월 국회의원선거 직전과 사뭇 달라진 결과"라고 강조했다. 지난 4월 총선 직전인 4월13~14일 조사때는 여당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가 49%, 야당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가 39%였다.
내년 재보선에 더불어민주당이 당헌을 바꿔 후보를 내야할지에 대해선 '더불어민주당이 후보를 내야 한다' 48%, '후보를 내지 말아야 한다' 40%로 나타났다. 13%는 의견을 유보했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표본을 무작위 추출(집전화 RDD 15% 포함)해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실시됐으며, 표본오차는 ±3.1%포인트(95% 신뢰수준), 응답률은 12%(총 통화 8,256명 중 1,000명 응답 완료)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고.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