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정의연 적극 소명 필요하지만 성과 훼손 안돼"
"정치공세 도구삼아 운동의 의의 훼손시도는 규탄받아 마땅"
정의당은 14일 위안부 성금 논란과 관련, "하루빨리 적극적인 소명이 이루어져 의구심이 해소되기 바라지만 ‘위안부’ 진상 규명과 피해자 명예 회복, 일본의 책임 추궁을 위한 시민사회의 헌신적인 노력과 성과가 훼손되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강민진 정의당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정의기억연대의 기부금 의혹 문제와 특정 정치인의 자질 문제, 그리고 ‘위안부’ 해결을 위한 시민운동의 의의와 박근혜 정권 당시 이루어진 한일 합의의 문제점은 각각 별개의 사안으로 접근되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한 "본 사안을 정치공세의 도구로 삼아, 운동의 의의를 훼손하고 이전 정권의 과오를 정당화하려는 시도는 규탄 받아 마땅하다"며 "‘위안부’ 문제는 정치공방의 소재로 활용되기에는 역사적인 무게가 큰 사안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일본 정부의 공식적인 사과와 피해자 명예 회복 및 배상이 이루어질 때까지 ‘위안부’ 해결을 위한 시민운동과 정치권의 노력은 계속되어야 한다"며 "일본대사관 앞 수요집회도 멈추지 않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강민진 정의당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정의기억연대의 기부금 의혹 문제와 특정 정치인의 자질 문제, 그리고 ‘위안부’ 해결을 위한 시민운동의 의의와 박근혜 정권 당시 이루어진 한일 합의의 문제점은 각각 별개의 사안으로 접근되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한 "본 사안을 정치공세의 도구로 삼아, 운동의 의의를 훼손하고 이전 정권의 과오를 정당화하려는 시도는 규탄 받아 마땅하다"며 "‘위안부’ 문제는 정치공방의 소재로 활용되기에는 역사적인 무게가 큰 사안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일본 정부의 공식적인 사과와 피해자 명예 회복 및 배상이 이루어질 때까지 ‘위안부’ 해결을 위한 시민운동과 정치권의 노력은 계속되어야 한다"며 "일본대사관 앞 수요집회도 멈추지 않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