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자평화당 '위안부 할머니 편지' 공개에 시민당 "가짜뉴스 유포"
가자평화당 공천 탈락후 양측간 전면전 양상
이용수 할머니의 보상금 의혹 제기의 배후로 시민당에서 지목받은 최용성 가자평화인권당 대표는 11일자 <중앙일보>에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가 문희상 국회의장 앞으로 썼다는 친필서한을 전달했다.
할머니 A씨는 서한에서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당시 윤미향 당시 정대협 대표(시민당 의원 당선인)가 전화를 걸어 절대로 돈을 받지 말라고 종용했다며 "나는 억울해서 받아야겠다"고 말했다.
<중앙일보>는 "윤 당선인은 피해자 의견 수렴 없이 이뤄진 합의의 원천 무효화를 주장했기 때문에 지원금 수령 역시 반대해 왔다. 하지만 자신이 반대하는 것과 수령을 원하는 피해자들에게 받지 말라고 회유하거나 종용하는 것은 다른 문제다. 사실 수령을 원한 피해자들도 있었다. 실제 생존 피해자 46명 중 34명이 지원금을 수령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제윤경 시민당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오늘 중앙일보는 최용상 가자 평화인권당 대표가 위안부 할머니로부터 받은 편지 내용을 1면 보도했다"며 "계속되는 왜곡보도에 심히 유감을 표명한다"고 반발했다.
그는 "윤미향 당선인이 대표로 있었던 정대협은 일방적으로 밀실 추진된 2015년 위안부 합의의 사실을 위안부 할머니들께 설명했다"며 "합의내용에는 그동안 할머니들이 요구했던 범죄인정과 공식사죄, 법적 배상이 아니라 오히려 소녀상 철거 및 위안부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 언급 금지 등 독소조항이 들어있다고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할머니들의 위로금 수령 의사를 최대한 존중했다"며 종용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최용성 가자평화당 대표는 최근 연일 언론을 통해 윤미향 당선인에 대한 사실과 다른 의혹제기를 지속하고 있다"며 "최 대표는 윤미향 당선인에 대한 가짜뉴스 유포를 당장 중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중앙일보>에 대해서도 윤 당선인의 활동을 경계하는 사람들의 주장을 일방적으로 받아쓰면서 마치 숨겨진 진실인양 폭로성 기사를 쓴 중앙일보에도 강력한 유감을 표한다"며 "이러한 보도는 위안부 합의가 굴욕적 합의였다는 사실에 대한 반성과 역사인식이 결여된 것이자, 위안부 문제 해결의 본질을 벗어난 당선인 깎아내리기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다"라고 비난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