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동양방송> 안돌려 줄거냐"
정수장학회 '강탈' 판결 후폭풍. '신문-방송 겸업' 대비포석?
<중앙일보>가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위원장 송기인)의 정수장학회 판결을 계기로, <동양방송> 반환 문제를 거론하고 나서 언론계에 미묘한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중앙일보>, "동양방송과 동아방송은 어떻게 하려는 걸까"
김진국 논설위원은 1일 <중앙일보> 31면에 게재한 '과거사 뒤집기'라는 제목의 칼럼을 통해 기자실 통폐합 등 최근의 언론 파동을 거론하던 중 전두환 정권의 언론 통폐합에 대해 "중앙신문을 6개, 지방신문을 각도에 한 개씩만 남기고 모두 없앴다"며 "동양방송을 빼앗아 모든 TV를 정부가 장악했다"고 말했다.
김 위원은 이어 정수장학회 문제를 거론하며 "며칠 전 대통령 직속 과거사정리위원회는 정수장학회가 강제 헌납된 것이라며 유족에게 돌려주라고 했다"며 "부산일보와 MBC 주식을 가진 재단이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10년간 이사장을 맡았었다. 차베스보다도 세련되지 못한 권위주의 시절의 과거사다"라고 지적했다.
김 위원은 결론적으로 "그렇다면 그보다 20년이나 뒤인 전두환 시대에 빼앗은 동양방송-동아방송은 어떻게 하려는 걸까"라고 반문한 뒤 "감탄고토(甘呑苦吐)라면 정치적 의도를 의심받지 않겠는가"고 우회적으로 <동양방송> 반환을 요구했다.
이병철 회장, 눈물 머금고 전두환에게 <동양방송> 넘겨
<중앙일보>가 문제삼은 <동양방송(TBC)>은 1964년 고 이병철 삼성회장에 의해 설립된 상업방송으로 <중앙일보> 산하에 소속됐다가, 1980년 11월 당시 전두환 군부의 언론통폐합 조치로 KBS로 통합되어 텔레비전은 지금의 KBS 2, 라디오는 제3방송, FM은 제2FM이 되었다. 신군부는 또한 <동아일보> 산하의 <동아방송(DBS)>도 KBS에 통폐합시켰다.
당시 이병철 회장은 전두환의 소환을 받고 독대한 자리에서 폭압적 분위기에서 눈물을 머금고 <동양방송>을 넘긴 것으로 알려진다. 미디어산업에 남달리 애착이 컸던 이병철 회장은 생전에 <동양방송> 회수를 못한 것을 죽는 순간까지 회한으로 여겼던 것으로 전해진다.
차기정권의 '방송-신문 칸막이 해제' 겨냥?
<중앙일보>의 이날 문제 제기는 한 논설위원의 칼럼 형식을 빌어 우회적으로 나온 것으로 <중앙일보> 차원의 문제제기는 아니다. 그러나 언론계가 받아들이는 시각은 그렇게 간단치 않다.
보수 메이저언론은 정권이 바뀌면 '신문-방송 겸업금지 조항 해제'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 현재로선 대선지지도에서 압도적 우위를 달리고 있는 한나라당이 이미 관련법안을 국회에 제출한 상태이고, 이명박-박근혜 후보도 동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비해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이미 방송관련 준비작업을 활발히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조선일보>의 경우 신문-방송 겸업 금지가 해제될 경우 몇몇 대기업과 공동으로 지상파 방송사를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며, <중앙일보>도 이에 대응해 다각적 준비작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언론계는 <중앙일보>가 <동양방송> 반환 문제를 거론하고 나선 것도 이같은 방송진출 경쟁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해석하는 분위기다. <동양방송>을 반환받을 경우 호랑이가 날개를 다는 격으로, 방송 진출경쟁에서 압도적 우위를 차지할 게 뻔하기 때문이다.
이같은 움직임에 대해 언론시민단체 등은 '방송의 공영성'을 근거로 절대로 반환해선 안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이에 대해 <중앙일보>측은 비공식적으로 "80년 통폐합의 명분이었던 방송 공영화는 노태우 정권때 민방 SBS 허용으로 무력화된 지 오래"라고 반박하고 있다.
문제는 <동양방송> 주인이었던 삼성의 입장. 삼성은 사안의 민감성을 의식, 이 문제에 대한 언급 자체를 피하는 분위기다. 또한 반환된다 할지라도 꼭 <중앙일보>에게 돌아가리라는 법은 없다는 분위기다.
앞으로 상황이 어떻게 돌아갈지는 아직 미지수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과거사정리위의 정수장학회 강탈 판결로 <동양방송> 문제도 서서히 기지개를 켜기 시작했다는 사실이다.
<중앙일보>, "동양방송과 동아방송은 어떻게 하려는 걸까"
김진국 논설위원은 1일 <중앙일보> 31면에 게재한 '과거사 뒤집기'라는 제목의 칼럼을 통해 기자실 통폐합 등 최근의 언론 파동을 거론하던 중 전두환 정권의 언론 통폐합에 대해 "중앙신문을 6개, 지방신문을 각도에 한 개씩만 남기고 모두 없앴다"며 "동양방송을 빼앗아 모든 TV를 정부가 장악했다"고 말했다.
김 위원은 이어 정수장학회 문제를 거론하며 "며칠 전 대통령 직속 과거사정리위원회는 정수장학회가 강제 헌납된 것이라며 유족에게 돌려주라고 했다"며 "부산일보와 MBC 주식을 가진 재단이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10년간 이사장을 맡았었다. 차베스보다도 세련되지 못한 권위주의 시절의 과거사다"라고 지적했다.
김 위원은 결론적으로 "그렇다면 그보다 20년이나 뒤인 전두환 시대에 빼앗은 동양방송-동아방송은 어떻게 하려는 걸까"라고 반문한 뒤 "감탄고토(甘呑苦吐)라면 정치적 의도를 의심받지 않겠는가"고 우회적으로 <동양방송> 반환을 요구했다.
이병철 회장, 눈물 머금고 전두환에게 <동양방송> 넘겨
<중앙일보>가 문제삼은 <동양방송(TBC)>은 1964년 고 이병철 삼성회장에 의해 설립된 상업방송으로 <중앙일보> 산하에 소속됐다가, 1980년 11월 당시 전두환 군부의 언론통폐합 조치로 KBS로 통합되어 텔레비전은 지금의 KBS 2, 라디오는 제3방송, FM은 제2FM이 되었다. 신군부는 또한 <동아일보> 산하의 <동아방송(DBS)>도 KBS에 통폐합시켰다.
당시 이병철 회장은 전두환의 소환을 받고 독대한 자리에서 폭압적 분위기에서 눈물을 머금고 <동양방송>을 넘긴 것으로 알려진다. 미디어산업에 남달리 애착이 컸던 이병철 회장은 생전에 <동양방송> 회수를 못한 것을 죽는 순간까지 회한으로 여겼던 것으로 전해진다.
차기정권의 '방송-신문 칸막이 해제' 겨냥?
<중앙일보>의 이날 문제 제기는 한 논설위원의 칼럼 형식을 빌어 우회적으로 나온 것으로 <중앙일보> 차원의 문제제기는 아니다. 그러나 언론계가 받아들이는 시각은 그렇게 간단치 않다.
보수 메이저언론은 정권이 바뀌면 '신문-방송 겸업금지 조항 해제'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 현재로선 대선지지도에서 압도적 우위를 달리고 있는 한나라당이 이미 관련법안을 국회에 제출한 상태이고, 이명박-박근혜 후보도 동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비해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이미 방송관련 준비작업을 활발히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조선일보>의 경우 신문-방송 겸업 금지가 해제될 경우 몇몇 대기업과 공동으로 지상파 방송사를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며, <중앙일보>도 이에 대응해 다각적 준비작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언론계는 <중앙일보>가 <동양방송> 반환 문제를 거론하고 나선 것도 이같은 방송진출 경쟁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해석하는 분위기다. <동양방송>을 반환받을 경우 호랑이가 날개를 다는 격으로, 방송 진출경쟁에서 압도적 우위를 차지할 게 뻔하기 때문이다.
이같은 움직임에 대해 언론시민단체 등은 '방송의 공영성'을 근거로 절대로 반환해선 안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이에 대해 <중앙일보>측은 비공식적으로 "80년 통폐합의 명분이었던 방송 공영화는 노태우 정권때 민방 SBS 허용으로 무력화된 지 오래"라고 반박하고 있다.
문제는 <동양방송> 주인이었던 삼성의 입장. 삼성은 사안의 민감성을 의식, 이 문제에 대한 언급 자체를 피하는 분위기다. 또한 반환된다 할지라도 꼭 <중앙일보>에게 돌아가리라는 법은 없다는 분위기다.
앞으로 상황이 어떻게 돌아갈지는 아직 미지수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과거사정리위의 정수장학회 강탈 판결로 <동양방송> 문제도 서서히 기지개를 켜기 시작했다는 사실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