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신경숙씨(52·사진)가 단편 ‘전설’의 표절 파문에 대해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해당 소설을 작품 목록에서 제외시키겠다고 밝혔다. 소설가 이응준(45)이 지난 16일 표절 의혹을 제기한 지 1주일 만이다.
23일 <경향신문>에 따르면, 신씨는 22일 경기도의 한 수도원에서 <경향신문>과 가진 단독 인터뷰에서 “문제가 된 미시마 유키오의 소설 ‘우국’의 문장과 ‘전설’의 문장을 여러 차례 대조해본 결과, 표절이란 문제 제기를 하는 게 맞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아무리 지난 기억을 뒤져봐도 ‘우국’을 읽은 기억은 나지 않지만, 이제는 나도 내 기억을 믿을 수 없는 상황이 됐다”면서 사실상 잘못을 인정했다.
그는 또 “출판사와 상의해서 ‘전설’을 작품집에서 빼겠다”며 “문학상 심사위원을 비롯해 모든 것을 내려놓고 자숙하는 시간을 갖겠다”고 말했다.
신씨는 “이 문제를 제기한 문학인들을 비롯해 내 주변의 모든 분들, 무엇보다 내 소설을 읽었던 많은 독자들에게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모든 게 제대로 살피지 못한 내 탓”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출판사와 상의해 '전설'을 작품집에서 빼겠다"며 "문학상 심사위원을 비롯해 모든 것을 내려놓고 자숙하는 시간을 갖겠다"고 밝혔다.
그는 15년 전인 지난 2000년 정문순 문학평론가가 이미 '전설'과 '우국'이 비슷하다는 문제 제기를 했는데도 대응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2000년에 그런 글이 실렸다는 이야기는 들었지만 내가 읽지도 않은 작품('우국')을 갖고 그럴(표절할) 리가 있나, 생각했기 때문에 읽지 않았다"며 "그때 읽었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전설' 외에도 '기차는 7시에 떠나네', '작별인사', '엄마를 부탁해' 등 그의 작품 전반에 표절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것과 관련해 "어떤 소설을 읽다보면, 어쩌면 이렇게 나랑 생각이 똑같을까 싶은 대목이 나오고 심지어 에피소드도 똑같을 때가 있다"면서도 일부 대목을 의도적으로 따왔다고는 하지 않았다.
그는 '무거운 새의 발자국' '멀리, 끝없는 길 위에' 등 기존 시인의 시 제목을 자신의 소설 제목에 무단으로 썼다는 의혹에 대해선 "시에서 제목을 따오는 일은 당시 문단에서 종종 있던 일이며 시인이 제 친구였던 경우도 있다"면서 "만약 그게 잘못된 일이었다면, 혹시 섭섭한 마음을 가졌다면 제가 잘못 살아온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절필 여부에 대해선 “아무리 생각해봐도 임기응변식 절필 선언은 할 수 없다. 나에게 문학은 목숨과 같은 것이어서 글쓰기를 그친다면 살아도 살아있는 게 아니다. 원고를 써서 항아리에 묻더라도, 문학이란 땅에서 넘어졌으니까 그 땅을 짚고 일어나겠다”고 밝혔다.
솔직히 난 신경숙에 별로 관심이 없다. 돈잘버는 통속소설 작가정도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신경숙의 소설에서 역사와 시대를 관통하는 문제의식이나 고민을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창비가 그런 작가의 명백한 표절행위를 옹호하고 변명하는 게 표절 이상으로 충격이다. 젊은 시절 정신적 은신처가 창비였는데... 통속 소설가의 표절 논란 별로 의미없다고 생각한다.
이덕일 소장님이 그러더군요. 혈의누을 쓴 신소설 효시라던 이인직이 나라팔아 처묵은 이완용이 비서이고 일제찬양하고 낙지대구빡 칭송하던 미당인지 말당인지가 일제가 그렇게 쉽게 망할줄 몰랐다고 이야기 했다고. 표절논란이 이렇게 이슈화 될 지 몰랐을까? 출처표기없는 표절은 범죄입니다. 지식인의 범죄는 사과와 자숙이 아닌 중형이 필요합니다.
있는놈이 더 배우고 있는놈이 더 기회를 부여받고 없는놈을 착취하고 조롱하고 멸시하고 끼리끼리 이익을 챙겨주고 허물은 덮어주고 . 개년의 주저리주저리 늘어놓은 변명의 끝문장은 "그 땅을 짚고 일어나겠다”로 귀결되네 이 나라는 메르스 바이러스 보다 머릿속 지우개 바이러스가 더 심각하다 . 속이시커먼 먹물들이 못배운 노예들 머릿속을 하얗게 지워대는 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