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이해찬-문재인, 盧정무특보로 컴백

김병준은 정책특보, 신계륜은 '대통령 비서실장설' 확산

노무현 대통령이 27일 정무특별보좌관에 이해찬 전 총리, 문재인 전 민정수석, 오영교 전 행정자치부장관, 조영택 전 국무조정실장을 임명했다. 또한 대통령 정책특별보좌관에 김병준 현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을 임명했다.

당초 정무특보에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던 신계륜 전 열린우리당 의원은 포함되지 않아, 신 전의원이 내주 예정된 개각에서 대통령 비서실장이 될 것이라는 관측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윤태영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이같은 인사 사실을 밝히며 "노무현 대통령은 남은 임기동안 원활하게 국정을 마무리하기 위해서는 당정간 협의를 비롯한 정무, 정책적 활동을 강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오늘 인선된 분들은 모두 참여정부의 핵심정책을 담당했던 분들로서 앞으로 이 분들을 포함한 특보단회의를 신설하여 운영해 나감으로써 당정 간 소통을 원활히 하고 주요 정부정책을 조율해 나갈 예정"이라고 인선배경을 설명했다.

정가에서는 노대통령이 과거 핵심측근들을 대통령 정무-정책특보로 임명한 것은 임기말 레임덕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특히 정치특보로 관측되던 안희정씨 등이 빠진 것은 정권 재창출 개입 논란을 미연에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되고 있다.

이해찬 전 총리가 노대통령 정무특보로 컴백해 향후 그의 역할에 귀추가 주목된다. ⓒ연합뉴스


한나라당은 이번 인사와 관련, "마지막 남은 국민의 기대를 저버린 희대의 코드인사"라고 비난했다.

나경원 한나라당 대변인은 이날 국회 브리핑에서 "이날 인선은 코드인사, 보은인사, 회전문인사 등 노무현 대통령의 인사특징이 총망라된 백화점식 인사"라며 "또한 이 같은 정무특보단 개편은 정계개편을 주도하고 대선을 관리하겠다는 의도로 보이는데 안보위기를 가중시키고 국정을 거덜내는 망사와 꼼수, 공작정치를 절대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영섭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