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증가, 소득 증가보다 빠르다
저소득층, 부채부담 나날이 악화
우리 국민의 부채가 소득보다 더 빠르게 증가하면서 가계 부실화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다.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말 현재 가계대출 잔액 711조6천억원은 직전 1년간 총처분가능소득(GNDI) 1천117조1천억원의 약 64%를 차지했다. 이는 2003년 상반기 말의 54%보다 무려 10%포인트나 높아진 수치다.
특히 소득 증가분이 고소득층에 몰리는 현상이 심해져, 저소득층의 소득 대비 부채 부담이 더 커진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노동패널 조사에 나타난 2008년 기준 부채보유 가구의 소득 분위별 이자부 자산(예금+저축성보험) 대비 이자부 부채(금융회사+비금융회사 부채) 비중은 소득 수준이 낮은 1분위가 6.67배, 2분위가 7.96배였다.
반면에 고소득층인 5분위는 이 배율이 3.00배로 나타나 저소득층의 자산 대비 부채 부담이 고소득층의 갑절을 넘었다.
특히 주택이 없는 1~2분위는 이 배율이 14.45배와 21.61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양극화가 날로 극심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말 현재 가계대출 잔액 711조6천억원은 직전 1년간 총처분가능소득(GNDI) 1천117조1천억원의 약 64%를 차지했다. 이는 2003년 상반기 말의 54%보다 무려 10%포인트나 높아진 수치다.
특히 소득 증가분이 고소득층에 몰리는 현상이 심해져, 저소득층의 소득 대비 부채 부담이 더 커진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노동패널 조사에 나타난 2008년 기준 부채보유 가구의 소득 분위별 이자부 자산(예금+저축성보험) 대비 이자부 부채(금융회사+비금융회사 부채) 비중은 소득 수준이 낮은 1분위가 6.67배, 2분위가 7.96배였다.
반면에 고소득층인 5분위는 이 배율이 3.00배로 나타나 저소득층의 자산 대비 부채 부담이 고소득층의 갑절을 넘었다.
특히 주택이 없는 1~2분위는 이 배율이 14.45배와 21.61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양극화가 날로 극심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