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4인가족 밥상 물가, 5년새 41%나 폭등

양념류 인상분까지 합하면 상승률 더 높아

4인 가족의 저녁 밥상을 차리는 데 드는 비용이 5년 전보다 무려 41.4%나 폭등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같은 기간 3.4~6.9%에 머물렀던 명목임금 상승률을 크게 웃도는 것으로, 국민들의 생활비 부담이 크게 늘어났음을 보여준다.

16일 한국물가협회 등에 따르면 6월 현재 4인 가족의 저녁 밥상 비용은 2만4천63원으로 5년 전에 비해 41.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협회는 이번 조사에서 서울대 식품영양학과 윤지현 교수가 제시한 4인 가족의 저녁 표준식단을 기준으로 삼았다.

이 같은 식단을 차리는 데 드는 비용은 2005년 1만7천21원에서 2006년 1만8천706원으로 올랐다가 2007년 1만7천739원으로 잠시 내렸으나 2008년 2만113원으로 처음으로 2만 원 선을 넘어섰다. 지난해에는 2만296원을 기록했다. 올해 들어서는 냉해와 폭설 등으로 채소와 과일 값이 급등하면서 2만4천63원으로 상승했다.

물가협회 김기일 조사연구원은 "기초 반찬인 김치에 들어가는 배추와 양념류의 필수 재료인 고추 등의 가격상승분을 반영할 경우 밥상물가 상승률은 이보다 훨씬 더 높게 나타났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지욱 기자

댓글이 8 개 있습니다.

  • 0 0
    1111

    그럼 한국은행에서 발표하는 물가상승률은 뭔가요?
    왜 차이가 이렇게 많이 나는 걸까요?

  • 2 0
    앵겔지수

    소득은 줄고 물가 오르는 이유 "도덕성을 상실한 권력과 자본의 침탈 때문이다.

  • 6 0
    쥐벼룩몰살

    교묘한 놈들. 현 정권 들어 2008년 이후 얼마 올랐나 계산해봐라. 2007년 1만7739원. 2010년 6월 현재 2만4063원. 즉 35.65%상승이다. 즉 5년만에 40%라고 쓸게 아니라 현정부들어 2년반만에 36% 급등이라고 써야 옳은 것이다. 참여정부시절(즉 2005~7년 사이 상승율은 고작 4.21%에 불과하다.

  • 4 0
    잘하는건 사기질밖에

    [고소득층 지난해 실질 세부담 한국 15.2%-OECD평균은 31.4%]부자감세 국가..국제 공인..전년보다 격차 0.2%p 늘어..정규직의 임금이 1년만에 5.6% 증가,비정규직은 1.7% 증가에 그쳐
    이런와중에..靑,'의보 민영화'강경론자 비서관 발탁하고..MB에 밥상물가까지..대체 이정권이 잘하는건 사기질밖에 없나????

  • 0 0
    부자들이다

    4인 가족의 저녁 밥상 비용은 2만4천63원 - 우와 이거 진짜 돈 많이 버는 족속들이네.. 밥에다 김치하나면 족한데....

  • 6 0
    처음처럼

    기사를 읽어보면, 차라리 3년만에 35.7%올랐다고 해라.

  • 10 0
    미래예측

    강만수가 환율 조작할 때 마트에서 샘플링해보니 식용유 등 기본 생필품이 정확히 두배 올랐더라. 환율 조작으로 모든 수입가에 죽음의 물가 상승이 온 것이다. 서민이라는 애들은 나눠서 내니까 전체를 모르지. 그게 장사의 비밀이고 명바기 사기극의 비밀이란다. 이 서민이란 것들은 여전히 명바기를 찍지.

  • 3 6
    콩고물

    슨상개구리가 집값 몇배로 올렸으니 당연히 다른것도 오르지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