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2018년, 2022년 월드컵 유치전에 뛰어들겠다"
대한축구협회 선언했으나 정부 태도는 아직 미정
대한축구협회가 월드컵 축구대회 유치 경쟁에 뛰어들겠다고 밝혔다.
대한축구협회는 3일 "국제축구연맹(FIFA)에 2018년 또는 2022년 월드컵 축구대회 유치 의사를 공식적으로 전달했다"고 발표했다.
FIFA는 월드컵 유치 입찰 조건으로 최상의 인프라 및 약 12개의 일정규모 경기장을 갖출 것, 최신 TV 방송설비, 정보 및 텔레커뮤니케이션 기술, 수송 및 숙박 시설을 갖출 것, 대회 개최 1년 전에 컨페더레이션스컵 개최 등을 내세우고 있다. 한국은 지난 2002년 월드컵 대회 개최를 통해 현재 FIFA가 내세우고 있는 조건들을 대부분 충족하고 있다.
한국이 월드컵 유치 관심표명 양식을 제출함으로써 2018-2022 월드컵 유치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현재 2018-2022 월드컵 유치경쟁에 뛰어든 국가들의 경우 아시아에서는 한국과 2002년 월드컵을 공동개최했던 일본을 비롯해 카타르 인도네시아 등이 유치 의사를 표명한 상태다. 유럽에서는 단독 개최를 희망하는 잉글랜드, 러시아와 공동개최를 추진하는 포르투갈-스페인, 네덜란드-벨기에 등이 뛰어들었다. 이밖에 미국, 멕시코, 호주, 이집트 등도 대회 유치를 희망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이 실제로 공식적인 월드컵 유치 경쟁에 뛰어들 수 있을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월드컵 유치 희망 국가는 내년 5월까지 FIFA에 정부의 동의서가 첨부된 유치 신청서 제출하고 필요하다면 실사를 받아야 하는데 한국이 이미 2018년 동계올림픽(평창), 2020년 하계올림픽(부산) 유치전에 뛰어든 상황이어서 정부가 월드컵 유치전 참가에까지 힘을 보태줄지 아직은 미지수다.
조중연 축구협회장도 "유치 표명 마감이 있어 가능성을 열어두려고 의사 표현을 한 것"이라며 "이후 정부와 협의를 통해 내년 5월까지 정식으로 FIFA에 유치 신청을 할지를 논의하게 된다"고 말해, 앞으로 공식적인 유치전 참여까지 정부와 풀어내야 할 과제가 남아 있음을 시사했다.
한편 FIFA는 유치 희망 도시를 받은 이후 관련 서류 심사와 실사 등을 거쳐 내년 12월 집행위원회에서 2018년 대회와 2022년 대회 개최지를 동시에 발표할 계획이다.
대한축구협회는 3일 "국제축구연맹(FIFA)에 2018년 또는 2022년 월드컵 축구대회 유치 의사를 공식적으로 전달했다"고 발표했다.
FIFA는 월드컵 유치 입찰 조건으로 최상의 인프라 및 약 12개의 일정규모 경기장을 갖출 것, 최신 TV 방송설비, 정보 및 텔레커뮤니케이션 기술, 수송 및 숙박 시설을 갖출 것, 대회 개최 1년 전에 컨페더레이션스컵 개최 등을 내세우고 있다. 한국은 지난 2002년 월드컵 대회 개최를 통해 현재 FIFA가 내세우고 있는 조건들을 대부분 충족하고 있다.
한국이 월드컵 유치 관심표명 양식을 제출함으로써 2018-2022 월드컵 유치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현재 2018-2022 월드컵 유치경쟁에 뛰어든 국가들의 경우 아시아에서는 한국과 2002년 월드컵을 공동개최했던 일본을 비롯해 카타르 인도네시아 등이 유치 의사를 표명한 상태다. 유럽에서는 단독 개최를 희망하는 잉글랜드, 러시아와 공동개최를 추진하는 포르투갈-스페인, 네덜란드-벨기에 등이 뛰어들었다. 이밖에 미국, 멕시코, 호주, 이집트 등도 대회 유치를 희망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이 실제로 공식적인 월드컵 유치 경쟁에 뛰어들 수 있을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월드컵 유치 희망 국가는 내년 5월까지 FIFA에 정부의 동의서가 첨부된 유치 신청서 제출하고 필요하다면 실사를 받아야 하는데 한국이 이미 2018년 동계올림픽(평창), 2020년 하계올림픽(부산) 유치전에 뛰어든 상황이어서 정부가 월드컵 유치전 참가에까지 힘을 보태줄지 아직은 미지수다.
조중연 축구협회장도 "유치 표명 마감이 있어 가능성을 열어두려고 의사 표현을 한 것"이라며 "이후 정부와 협의를 통해 내년 5월까지 정식으로 FIFA에 유치 신청을 할지를 논의하게 된다"고 말해, 앞으로 공식적인 유치전 참여까지 정부와 풀어내야 할 과제가 남아 있음을 시사했다.
한편 FIFA는 유치 희망 도시를 받은 이후 관련 서류 심사와 실사 등을 거쳐 내년 12월 집행위원회에서 2018년 대회와 2022년 대회 개최지를 동시에 발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