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견제론 하나로 선거 치루다 패배"
당 주최 토론회 "이명박 실패해도 민주당에 기회 안올 것"
통합민주당의 4.9 총선 패배는 정체성 있는 대안없이 견제론이란 네거티브 전략으로 일관한 필연적 귀결이라는 쓴소리가 제기됐다.
민주당의 한반도전략연구원이 16일 주최한 '4.9총선 평가와 정국전망'이란 주제로 열린 토론회에 참석한 김호기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는 발제문을 통해 "대선과 총선, 두 번의 선거를 통해 시대정신으로서의 '민주화'가 갖는 정치적 동력은 완전히 상실됐다"며 "국면사적으로 볼 때 보수세력이 전체 의석의 2/3을 넘은 것은 '민주화 시대'에서 '신보수 시대'로의 전환 완료를 상징한다"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이어 "국민 다수의 시선에서는 민주당은 개혁 공천 이후 네거티브 전략으로 일관한 듯하다"며 "인사정책 비판, 대운하 반대, 영어 공교육 반대 등을 넘어선 포지티브 비전과 정책을 제시하는데 한계를 보였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민주당이 호소한 개헌 저지선 100석 지지 호소에 대해 "개헌 저지선은 정치적 개념으로는 낡은 개념"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민주당의 정체성 문제는 '우향우'나 '좌향좌'의 문제가 아니라 '중도 진보'의 노선을 명확히 하지 않은 데 있다"며 "중도개혁은 이미 시효만료된 개념이며, 따라서 새로운 진보는 손학규 대표가 이미 강조한대로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나아가는 실사구시적 진보"라고 주장했다.
그는 민주당의 활로와 관련해선 "단기적으로 정체성이 유사한 정당과의 정책연합을 추진하면서 장기적으로는 통합을 모색할 필요도 있으며, 더불어 정치사회 밖으로부터의 새로운 인적 자원의 지속적인 충원 또는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성한용 <한겨레> 선임기자는 "손 대표는 '제3의 길' '새로운 진보'라는 제목은 던졌지만 내용을 거의 채우지 못했다"며 "그리고 그나마 얼기설기 만든 정책을 팔기 위한 '마케팅'도 없었다"고 비판했다.
그는 "민주당의 총선 전략은 처음부터 끝까지 '견제론' 하나 밖에 없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민주당 공천에 대해서도 "하나의 원칙을 세워 끝까지 관철시킨 것은 평가할 만하지만, 박재승 팀이 한 일은 '배제의 미학'"이라며 "법률전문가가 정당에서 할 수 있는 일은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민주당의 정체성에 걸맞지 않은 의정활동을 했던 몇 사람을 탈락시켰어야 했다"며 "그게 어려웠다면 정치적 거물을 탈락시키는 이벤트라도 제대로 해야 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명박 대통령이 실패하더라도 민주당에게 기회가 오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며 "그 이유는 민주당에 '대안'이 없기 때문"이라고 꼬집기도 했다.
민주당의 한반도전략연구원이 16일 주최한 '4.9총선 평가와 정국전망'이란 주제로 열린 토론회에 참석한 김호기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는 발제문을 통해 "대선과 총선, 두 번의 선거를 통해 시대정신으로서의 '민주화'가 갖는 정치적 동력은 완전히 상실됐다"며 "국면사적으로 볼 때 보수세력이 전체 의석의 2/3을 넘은 것은 '민주화 시대'에서 '신보수 시대'로의 전환 완료를 상징한다"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이어 "국민 다수의 시선에서는 민주당은 개혁 공천 이후 네거티브 전략으로 일관한 듯하다"며 "인사정책 비판, 대운하 반대, 영어 공교육 반대 등을 넘어선 포지티브 비전과 정책을 제시하는데 한계를 보였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민주당이 호소한 개헌 저지선 100석 지지 호소에 대해 "개헌 저지선은 정치적 개념으로는 낡은 개념"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민주당의 정체성 문제는 '우향우'나 '좌향좌'의 문제가 아니라 '중도 진보'의 노선을 명확히 하지 않은 데 있다"며 "중도개혁은 이미 시효만료된 개념이며, 따라서 새로운 진보는 손학규 대표가 이미 강조한대로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나아가는 실사구시적 진보"라고 주장했다.
그는 민주당의 활로와 관련해선 "단기적으로 정체성이 유사한 정당과의 정책연합을 추진하면서 장기적으로는 통합을 모색할 필요도 있으며, 더불어 정치사회 밖으로부터의 새로운 인적 자원의 지속적인 충원 또는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성한용 <한겨레> 선임기자는 "손 대표는 '제3의 길' '새로운 진보'라는 제목은 던졌지만 내용을 거의 채우지 못했다"며 "그리고 그나마 얼기설기 만든 정책을 팔기 위한 '마케팅'도 없었다"고 비판했다.
그는 "민주당의 총선 전략은 처음부터 끝까지 '견제론' 하나 밖에 없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민주당 공천에 대해서도 "하나의 원칙을 세워 끝까지 관철시킨 것은 평가할 만하지만, 박재승 팀이 한 일은 '배제의 미학'"이라며 "법률전문가가 정당에서 할 수 있는 일은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민주당의 정체성에 걸맞지 않은 의정활동을 했던 몇 사람을 탈락시켰어야 했다"며 "그게 어려웠다면 정치적 거물을 탈락시키는 이벤트라도 제대로 해야 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명박 대통령이 실패하더라도 민주당에게 기회가 오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며 "그 이유는 민주당에 '대안'이 없기 때문"이라고 꼬집기도 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