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무자비한 탄압, 티베트 가구당 1명씩 강제연행
EU-독일 등 중국의 무력탄압 비판, 대화 촉구
중국 정부가 티베트 독립시위에 대해 대대적인 현상금을 내걸고 밀고를 장려하는가 하면, 티베트인 가구 당 1명씩을 강제 연행하는 등 탄압의 강도를 높여 국제사회의 비난을 사고 있다.
중국 무자비한 탄압, 가구당 1명씩 연행해 가기도
26일 <미국의 소리(VOA)>방송에 따르면, 정부 조사단을 이끌고 지난 23일과 24일 티베트를 방문했던 멍젠주 공안부장은 이날 "중국정부가 티베트 불교승려들에 대한 소위 ‘애국계몽’운동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히고, 추가 시위를 막기 위해 티베트에 주둔중인 보안군에 대한 경계태세를 강화했다고 밝혔다. 그는 티베트 방문 중 지난 14일 독립시위의 진원지가 됐던 조캉 사원에 들러 "승려들이 국민 단합을 해치고 있다"며 "시위에 참가한 사람들이 티베트 불교 교리를 위반했다"며 티베트 불교계를 맹비난한 바 있다.
일본의 <지지통신>은 26일 이와 관련, 미국의 '라디오자유아시아'를 인용해 자치구 라싸와 주변 성에서 독립시위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 당국이 티베트인 가구마다 1명씩을 강제 연행하는 한편 밀고를 장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인도에 망명한 티베트인들의 증언에 따르면 쓰촨(四川)성 아바 티베트족자치주 아바현에서는 중국 공안당국이 티베트 가구당 평균 한 명씩을 체포해 갔으며, 공안 당국은 이들에게 사진을 보여주며 그 속에 찍힌 사람들의 신원을 캐물은 것으로 알려졌다. 공안당국은 또 주민들에게 시위에 참가한 티베트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경우 첫 신고자에는 무제한의 보상금을, 두 번째 신고자에도 5천위안의 상금을 주겠다고 선전하고 있다고 전했다.
국제사회 비난 가중
중국당국의 탄압이 강화되고 있는 데 대해 전날 프랑스에 이어 유럽연합(EU)과 미국, 호주, 캐나다, 독일 등이 중국 당국을 비난하고 나섰다.
26일 AP통신에 따르면, 25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인권위원회 회의에서 EU 27개 회원국을 대표하는 슬로베니아의 안드레이 로가르 제네바 주재 대사는 "티베트 독립 시위대에 대한 중국 당국의 무력 사용 중단을 촉구하며 시위대에 대한 폭력 행위 사용을 중단할 것을 요구한다"며 "EU는 평화적인 시위를 할 수 있는 권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또한 표현의 자유를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중국을 질타했다.
워런 티셔너 제네바 주재 미국 대사도 이날 "중국 정부가 평화적으로 정치적,종교적 견해를 표출할 수 있는 기본적 인권을 존중하기를 바란다"며, 중국 정부가 티베트 관련 사태 보도를 막기 위해 외국 기자들의 취재를 봉쇄한 것에 대해서도 "중국 정부의 외국 기자 취재 봉쇄로 우리는 현재 티베트 사태와 관련한 실증적인 정보를 얻지 못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독일의 프랭크 월터 슈타인마이어 외무장관도 25일(현지시간) 양제츠(楊潔篪) 중국 외교부장과 전화 통화를 하고 티베트 독립 시위에 대한 중국의 무력 사용 중단을 촉구하며 "영원한 폭력의 종식과 평화 회복을 희망한다"고 말했다. 독일 외무부 대변인은 "슈타인마이어 외무장관은 중국 정부에 티베트 시위와 관련, 투명성을 요구했다"고 부연설명했다.
중국 무자비한 탄압, 가구당 1명씩 연행해 가기도
26일 <미국의 소리(VOA)>방송에 따르면, 정부 조사단을 이끌고 지난 23일과 24일 티베트를 방문했던 멍젠주 공안부장은 이날 "중국정부가 티베트 불교승려들에 대한 소위 ‘애국계몽’운동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히고, 추가 시위를 막기 위해 티베트에 주둔중인 보안군에 대한 경계태세를 강화했다고 밝혔다. 그는 티베트 방문 중 지난 14일 독립시위의 진원지가 됐던 조캉 사원에 들러 "승려들이 국민 단합을 해치고 있다"며 "시위에 참가한 사람들이 티베트 불교 교리를 위반했다"며 티베트 불교계를 맹비난한 바 있다.
일본의 <지지통신>은 26일 이와 관련, 미국의 '라디오자유아시아'를 인용해 자치구 라싸와 주변 성에서 독립시위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 당국이 티베트인 가구마다 1명씩을 강제 연행하는 한편 밀고를 장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인도에 망명한 티베트인들의 증언에 따르면 쓰촨(四川)성 아바 티베트족자치주 아바현에서는 중국 공안당국이 티베트 가구당 평균 한 명씩을 체포해 갔으며, 공안 당국은 이들에게 사진을 보여주며 그 속에 찍힌 사람들의 신원을 캐물은 것으로 알려졌다. 공안당국은 또 주민들에게 시위에 참가한 티베트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경우 첫 신고자에는 무제한의 보상금을, 두 번째 신고자에도 5천위안의 상금을 주겠다고 선전하고 있다고 전했다.
국제사회 비난 가중
중국당국의 탄압이 강화되고 있는 데 대해 전날 프랑스에 이어 유럽연합(EU)과 미국, 호주, 캐나다, 독일 등이 중국 당국을 비난하고 나섰다.
26일 AP통신에 따르면, 25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인권위원회 회의에서 EU 27개 회원국을 대표하는 슬로베니아의 안드레이 로가르 제네바 주재 대사는 "티베트 독립 시위대에 대한 중국 당국의 무력 사용 중단을 촉구하며 시위대에 대한 폭력 행위 사용을 중단할 것을 요구한다"며 "EU는 평화적인 시위를 할 수 있는 권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또한 표현의 자유를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중국을 질타했다.
워런 티셔너 제네바 주재 미국 대사도 이날 "중국 정부가 평화적으로 정치적,종교적 견해를 표출할 수 있는 기본적 인권을 존중하기를 바란다"며, 중국 정부가 티베트 관련 사태 보도를 막기 위해 외국 기자들의 취재를 봉쇄한 것에 대해서도 "중국 정부의 외국 기자 취재 봉쇄로 우리는 현재 티베트 사태와 관련한 실증적인 정보를 얻지 못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독일의 프랭크 월터 슈타인마이어 외무장관도 25일(현지시간) 양제츠(楊潔篪) 중국 외교부장과 전화 통화를 하고 티베트 독립 시위에 대한 중국의 무력 사용 중단을 촉구하며 "영원한 폭력의 종식과 평화 회복을 희망한다"고 말했다. 독일 외무부 대변인은 "슈타인마이어 외무장관은 중국 정부에 티베트 시위와 관련, 투명성을 요구했다"고 부연설명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