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무역의존도 94%. 내수경제 붕괴 국면
90년대초 50%까지 하락했다가 외환위기후 계속 급증
국민경제에서 대외무역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인 국민총소득(GNI) 대비 수출입 비중이 90%를 돌파하면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 무역의존도의 심화와 내수 부문의 상대적 취약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GNI 대비 수출입 비율은 94.2%를 기록해 사상 처음으로 90%선을 넘어섰다.
이 수치는 2002년 71.6%에서 2003년 75.8%, 2004년 86.2%, 2005년 85.2%, 2006년 88.3% 등으로 최근 수년 사이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으며, GNI에 대비해 수출입 비중이 높다는 것은 내수의 취약성과 무역의존도 심화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수출드라이브로 성장세를 지속하던 1980년대 중반 이 수치는 70%대를 유지하다가 90년대 초 50%대로 하락했으며 외환위기 직후인 98년 84.1%까지 상승했으나 이후는 70%대로 내려갔다.
지난해 GNI 대비 수출입 비중이 90%를 넘어선 것은 국내소비와 설비투자가 상대적으로 부진한 가운데 수출이 두자릿수의 증가세를 유지하고 특히 원유 등 원자재 가격의 급등으로 수입액이 크게 늘어난 것이 주 요인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GNI 대비 총수출 비중은 47.6%를 나타내 98년의 47.8% 이후 9년만에 가장 높았으며 총수입의 비중은 46.6%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해외유학과 여행경비 등으로 해외로 빠져나가는 돈이 크게 늘면서 서비스부문의 수입액이 늘어나면서 GNI 대비 총수입 비중을 끌어올리는 역할을 했다.
한은은 "국민경제에서 내수부문과 무역이 균형을 이루면서 성장을 견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최근 대외개방으로 무역부문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진 반면 내수부문은 다소 취약한 상태"라고 우려했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GNI 대비 수출입 비율은 94.2%를 기록해 사상 처음으로 90%선을 넘어섰다.
이 수치는 2002년 71.6%에서 2003년 75.8%, 2004년 86.2%, 2005년 85.2%, 2006년 88.3% 등으로 최근 수년 사이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으며, GNI에 대비해 수출입 비중이 높다는 것은 내수의 취약성과 무역의존도 심화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수출드라이브로 성장세를 지속하던 1980년대 중반 이 수치는 70%대를 유지하다가 90년대 초 50%대로 하락했으며 외환위기 직후인 98년 84.1%까지 상승했으나 이후는 70%대로 내려갔다.
지난해 GNI 대비 수출입 비중이 90%를 넘어선 것은 국내소비와 설비투자가 상대적으로 부진한 가운데 수출이 두자릿수의 증가세를 유지하고 특히 원유 등 원자재 가격의 급등으로 수입액이 크게 늘어난 것이 주 요인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GNI 대비 총수출 비중은 47.6%를 나타내 98년의 47.8% 이후 9년만에 가장 높았으며 총수입의 비중은 46.6%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해외유학과 여행경비 등으로 해외로 빠져나가는 돈이 크게 늘면서 서비스부문의 수입액이 늘어나면서 GNI 대비 총수입 비중을 끌어올리는 역할을 했다.
한은은 "국민경제에서 내수부문과 무역이 균형을 이루면서 성장을 견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최근 대외개방으로 무역부문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진 반면 내수부문은 다소 취약한 상태"라고 우려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