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촌 "김윤수-김정헌 등 5명 물러나라"
"물러나지 않으면 재임기간 문제 낱낱이 공개"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김정헌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 김윤수 국립현대미술관장 등 산하기관장 5명의 실명을 거론하며 이들의 자진사퇴하지 않을 경우 '재임기간중 문제'를 낱낱이 공개하겠다고 경고,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유장관이 이명박 정권의 '저격수'로 급부상하는 형국이다.
17일 <중앙일보>에 따르면, 유인촌 장관은 15일 정동극장에서 행한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5명의 문화·예술 단체장을 거론했다.
그는 김정헌 위원장에 대해선 “김정헌 문화예술위원장은 예술위 내홍으로 김병익 위원장이 용퇴하면서 그 자리를 이어 받으셨는데, 김 전 위원장과 같이 1기 위원 아니었는가"라고 반문한 뒤, "그렇다면 연대 책임을 지는 게 마땅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김윤수 관장에 대해선 "김윤수 국립현대미술관장의 경우 임명 초기 정준모 학예실장을 쫓아낸 것은 지나친 일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이와 함께 지난해 말 발생한 예술의전당 화재 사건과 관련해 정은숙 국립오페라단장과 신현택 예술의전당 사장의 책임도 촉구했다. 유 장관은 "예술의전당 화재 사건은 보아 하니 무대에 올랐던 한 성악가에게만 모든 책임을 전가시키는 것 같다"며 "정은숙 국립오페라단장과 신현택 예술의전당 사장도 책임을 져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유 장관은 신선희 국립극장장에 대해선 “신선희 국립극장장도 임명 때부터 신기남 열린우리당 전 의장의 누나라고 오해의 소지가 많았다"면서도 "나와는 같이 작업도 했던 터라 어떤 스타일의 분인지 잘 알고 있다. 정치적 욕심이 많으신 분이 아니다. 예술적으론 누구보다 존경한다. 잘 얘기해서 풀고 싶다”며 조용한 용퇴를 촉구했다.
그는 “계속 싸움을 확대하고 싶진 않다"면서도 "그러나 끝내 자리를 고집하신다면 나로서도 무슨 문제가 있었는지 낱낱이 공개할 수밖에 없다”고 강력 경고했다.
그는 친노 기관장 축출 논란과 관련해선, “모든 인사가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코드’로 자리에 앉았지만 이후 능력을 발휘하고 좋은 평가를 받은 분이라면 정권이 바뀌어도 당연히 임기를 보장받는 게 맞다. 아니 그런 분들은 더 대우를 해 드리고 싶다"며 "문제가 되는 건 계속 잡음을 일으키는 분들”이라고 해명했다.
한편 그는 “KBS도 현실적으로 수신료를 올려야겠지만, 전제조건이 있다"며 "공정성을 확보하고, 공익성을 우선시하며, 경영합리화가 이루어져야 국민들이 수신료 인상을 받아들이지 않겠는가”라며 우회적으로 정연주 KBS사장 퇴진 전에는 수신료 인상이 불가능할 것임을 시사했다.
17일 <중앙일보>에 따르면, 유인촌 장관은 15일 정동극장에서 행한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5명의 문화·예술 단체장을 거론했다.
그는 김정헌 위원장에 대해선 “김정헌 문화예술위원장은 예술위 내홍으로 김병익 위원장이 용퇴하면서 그 자리를 이어 받으셨는데, 김 전 위원장과 같이 1기 위원 아니었는가"라고 반문한 뒤, "그렇다면 연대 책임을 지는 게 마땅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김윤수 관장에 대해선 "김윤수 국립현대미술관장의 경우 임명 초기 정준모 학예실장을 쫓아낸 것은 지나친 일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이와 함께 지난해 말 발생한 예술의전당 화재 사건과 관련해 정은숙 국립오페라단장과 신현택 예술의전당 사장의 책임도 촉구했다. 유 장관은 "예술의전당 화재 사건은 보아 하니 무대에 올랐던 한 성악가에게만 모든 책임을 전가시키는 것 같다"며 "정은숙 국립오페라단장과 신현택 예술의전당 사장도 책임을 져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유 장관은 신선희 국립극장장에 대해선 “신선희 국립극장장도 임명 때부터 신기남 열린우리당 전 의장의 누나라고 오해의 소지가 많았다"면서도 "나와는 같이 작업도 했던 터라 어떤 스타일의 분인지 잘 알고 있다. 정치적 욕심이 많으신 분이 아니다. 예술적으론 누구보다 존경한다. 잘 얘기해서 풀고 싶다”며 조용한 용퇴를 촉구했다.
그는 “계속 싸움을 확대하고 싶진 않다"면서도 "그러나 끝내 자리를 고집하신다면 나로서도 무슨 문제가 있었는지 낱낱이 공개할 수밖에 없다”고 강력 경고했다.
그는 친노 기관장 축출 논란과 관련해선, “모든 인사가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코드’로 자리에 앉았지만 이후 능력을 발휘하고 좋은 평가를 받은 분이라면 정권이 바뀌어도 당연히 임기를 보장받는 게 맞다. 아니 그런 분들은 더 대우를 해 드리고 싶다"며 "문제가 되는 건 계속 잡음을 일으키는 분들”이라고 해명했다.
한편 그는 “KBS도 현실적으로 수신료를 올려야겠지만, 전제조건이 있다"며 "공정성을 확보하고, 공익성을 우선시하며, 경영합리화가 이루어져야 국민들이 수신료 인상을 받아들이지 않겠는가”라며 우회적으로 정연주 KBS사장 퇴진 전에는 수신료 인상이 불가능할 것임을 시사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