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준감위, '전경련 정경유착시 탈퇴' 권고…"혁신의지 우려"
"환골탈태 확신 못해…한경협 가입여부는 이사회·경영진이 최종 결정할 문제"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이하 준감위)가 18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의 혁신 의지 등 정경유착 재발 가능성에 우려를 표하며 삼성이 전경련에 복귀할 경우 정경유착 발생 시 즉시 탈퇴할 것 등을 권고했다.
준감위가 전경련 재가입과 관련해 삼성 이사회와 경영진에 공을 넘겼으나 사실상 조건부 승인을 했다는 해석이 나오는 가운데 삼성은 물론이고 SK그룹과 현대차그룹, LG그룹도 전경련 복귀 논의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이찬희 준감위원장은 이날 오전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임시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만약 가입했을 경우 전경련의 정경유착 행위가 지속된다면 즉시 탈퇴할 것을 비롯해 운영과 회계의 투명성 확보 방안 등에 대해 철저한 검토를 거친 뒤 결정할 것을 권고했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정경유착의 고리를 정말 완전히 단절할 수 있는가가 가장 큰 논의의 대상이었다"며 "전경련의 인적 구성과 운영에 정치권이 개입해서는 절대로 안된다는 점이 가장 큰 우려 사항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의 전경련 혁신안은 단순히 선언에 그칠 뿐이고 실제로 그것이 실현될 가능성, 그것을 실천할 의지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우려스러운 입장으로 위원들의 의견이 모아졌다"며 "위원회는 근본적인 우려를 표명했고 이사회와 경영진에서 (재가입은) 구체적으로 판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경련 복귀 여부는 삼성 각 계열사의 이사회와 경영진이 최종 결정할 문제로, 준감위는 삼성의 준법경영 의지가 훼손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각 계열사가 전경련 복귀를 결정하더라도 정경유착 행위가 있는 경우 즉시 탈퇴할 것 등을 권고했다는 것이다.
삼성 준감위는 이날 2시간 넘게 전경련이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고 쇄신할 수 있는지를 두고 집중 논의했으며 만장일치로 이 같은 권고 의견을 정했다.
권고안에는 정경유착 위반 시 즉시 탈퇴하는 것 외에 다른 조건도 담겼으나, 준감위 측은 이사회의 독립적인 판단을 위해 나머지 권고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삼성 준감위는 '국정농단 사건' 재판부가 삼성의 내부 준법감시제도 마련 등을 주문한 것을 계기로 2020년 2월 출범한 독립조직이다. 현재 이찬희 위원장을 비롯한 외부 위원 6명과 내부 위원 1명 등 총 7명으로 구성됐다.
준감위는 지난달 전경련이 보낸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가입 요청 공문과 혁신안 외에 전경련 혁신의 구체적인 내용과 향후 실천 절차, 회계 투명성 등 운영의 공정성과 객관성 확보 방안을 추가로 확인한 뒤 보고해 줄 것을 요청했고, 이를 바탕으로 수차례 심도 있는 논의를 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5월 전경련은 산하 연구기관인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을 흡수·통합하고 싱크탱크형 경제단체인 한경협으로 새롭게 출발하는 혁신안을 발표했으며, 지난달에는 4대 그룹에 한경협 동참을 요청하는 공문을 보낸 바 있다.
앞서 준감위는 지난 16일 임시회의에서 2시간에 걸쳐 삼성의 전경련 재가입 여부와 시기, 조건 등을 논의했으나 위원들 간 이견으로 결론을 내지 못했다.
재계에서는 삼성 준감위의 결정이 사실상 4대 그룹 복귀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에 부담을 느낀 준감위가 숙고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이날 삼성 준감위가 권고를 내놓음에 따라 삼성전자를 비롯한 삼성 5개 계열사는 조만간 이사회를 열어 전경련 복귀를 본격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은 앞서 5개 계열사 최고재무책임자(CFO)들의 3차례 회의와 각사 최고경영자(CEO) 보고를 거쳐 전경련 산하 한경연의 해산에 동의했으며, 한경연 회원 자동 승계는 이사회와 준감위 논의를 거쳐 결론 낼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삼성이 이번에 전경련에 복귀하면 2017년 2월 삼성전자를 시작으로 삼성 15개 계열사가 전경련에서 탈퇴한 지 6년 6개월 만에 다시 합류하는 것이다.
삼성을 비롯한 4대 그룹은 2016년 불거진 국정농단 사태 당시 전경련이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 자금을 기업들에 요청한 사실 등이 드러나자 전경련에서 잇따라 탈퇴했다.
이재용 회장은 2016년 12월 열린 국회 '국정농단'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더 이상 개인적으로 전경련 활동을 하지 않겠다. 기부금을 내지 않겠다"며 전경련 탈퇴를 약속하기도 했다.
이날 준감위의 권고는 나머지 그룹의 판단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SK그룹과 현대차그룹, LG그룹도 전경련 재가입 논의에 속도를 내며 전경련 복귀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재계 안팎에서는 여전히 4대 그룹이 전경련에 복귀할 명분이 미흡하다는 말이 나온다. 삼성 준감위가 우려했듯 정경유착 카르텔이 형성될 가능성에 대한 의심의 눈초리도 있다.
준감위가 "한경협이 과연 정경유착의 고리를 완전히 단절하고 환골탈태할 수 있을지에 대해 확신을 가질 수 없는 입장"이라며 우려를 표한 만큼 삼성이 이재용 회장의 대국민 약속을 뒤집고 전경련 복귀 수순을 밟는 것은 부담이라는 의견도 있다.
한편, 전경련은 오는 22일 임시총회를 열어 전경련의 명칭을 한경협으로 바꾸고, 한경연을 한경협으로 흡수 통합하는 정관 변경안과 류진 풍산 회장을 한경협 회장으로 추대하는 안건 등을 의결한다. 4대 그룹이 명시적으로 거부 의사를 밝히지 않으면 종전의 한경연 회원 자격이 한경협으로 자동 승계된다.
준감위가 전경련 재가입과 관련해 삼성 이사회와 경영진에 공을 넘겼으나 사실상 조건부 승인을 했다는 해석이 나오는 가운데 삼성은 물론이고 SK그룹과 현대차그룹, LG그룹도 전경련 복귀 논의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이찬희 준감위원장은 이날 오전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임시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만약 가입했을 경우 전경련의 정경유착 행위가 지속된다면 즉시 탈퇴할 것을 비롯해 운영과 회계의 투명성 확보 방안 등에 대해 철저한 검토를 거친 뒤 결정할 것을 권고했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정경유착의 고리를 정말 완전히 단절할 수 있는가가 가장 큰 논의의 대상이었다"며 "전경련의 인적 구성과 운영에 정치권이 개입해서는 절대로 안된다는 점이 가장 큰 우려 사항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의 전경련 혁신안은 단순히 선언에 그칠 뿐이고 실제로 그것이 실현될 가능성, 그것을 실천할 의지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우려스러운 입장으로 위원들의 의견이 모아졌다"며 "위원회는 근본적인 우려를 표명했고 이사회와 경영진에서 (재가입은) 구체적으로 판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경련 복귀 여부는 삼성 각 계열사의 이사회와 경영진이 최종 결정할 문제로, 준감위는 삼성의 준법경영 의지가 훼손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각 계열사가 전경련 복귀를 결정하더라도 정경유착 행위가 있는 경우 즉시 탈퇴할 것 등을 권고했다는 것이다.
삼성 준감위는 이날 2시간 넘게 전경련이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고 쇄신할 수 있는지를 두고 집중 논의했으며 만장일치로 이 같은 권고 의견을 정했다.
권고안에는 정경유착 위반 시 즉시 탈퇴하는 것 외에 다른 조건도 담겼으나, 준감위 측은 이사회의 독립적인 판단을 위해 나머지 권고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삼성 준감위는 '국정농단 사건' 재판부가 삼성의 내부 준법감시제도 마련 등을 주문한 것을 계기로 2020년 2월 출범한 독립조직이다. 현재 이찬희 위원장을 비롯한 외부 위원 6명과 내부 위원 1명 등 총 7명으로 구성됐다.
준감위는 지난달 전경련이 보낸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가입 요청 공문과 혁신안 외에 전경련 혁신의 구체적인 내용과 향후 실천 절차, 회계 투명성 등 운영의 공정성과 객관성 확보 방안을 추가로 확인한 뒤 보고해 줄 것을 요청했고, 이를 바탕으로 수차례 심도 있는 논의를 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5월 전경련은 산하 연구기관인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을 흡수·통합하고 싱크탱크형 경제단체인 한경협으로 새롭게 출발하는 혁신안을 발표했으며, 지난달에는 4대 그룹에 한경협 동참을 요청하는 공문을 보낸 바 있다.
앞서 준감위는 지난 16일 임시회의에서 2시간에 걸쳐 삼성의 전경련 재가입 여부와 시기, 조건 등을 논의했으나 위원들 간 이견으로 결론을 내지 못했다.
재계에서는 삼성 준감위의 결정이 사실상 4대 그룹 복귀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에 부담을 느낀 준감위가 숙고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이날 삼성 준감위가 권고를 내놓음에 따라 삼성전자를 비롯한 삼성 5개 계열사는 조만간 이사회를 열어 전경련 복귀를 본격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은 앞서 5개 계열사 최고재무책임자(CFO)들의 3차례 회의와 각사 최고경영자(CEO) 보고를 거쳐 전경련 산하 한경연의 해산에 동의했으며, 한경연 회원 자동 승계는 이사회와 준감위 논의를 거쳐 결론 낼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삼성이 이번에 전경련에 복귀하면 2017년 2월 삼성전자를 시작으로 삼성 15개 계열사가 전경련에서 탈퇴한 지 6년 6개월 만에 다시 합류하는 것이다.
삼성을 비롯한 4대 그룹은 2016년 불거진 국정농단 사태 당시 전경련이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 자금을 기업들에 요청한 사실 등이 드러나자 전경련에서 잇따라 탈퇴했다.
이재용 회장은 2016년 12월 열린 국회 '국정농단'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더 이상 개인적으로 전경련 활동을 하지 않겠다. 기부금을 내지 않겠다"며 전경련 탈퇴를 약속하기도 했다.
이날 준감위의 권고는 나머지 그룹의 판단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SK그룹과 현대차그룹, LG그룹도 전경련 재가입 논의에 속도를 내며 전경련 복귀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재계 안팎에서는 여전히 4대 그룹이 전경련에 복귀할 명분이 미흡하다는 말이 나온다. 삼성 준감위가 우려했듯 정경유착 카르텔이 형성될 가능성에 대한 의심의 눈초리도 있다.
준감위가 "한경협이 과연 정경유착의 고리를 완전히 단절하고 환골탈태할 수 있을지에 대해 확신을 가질 수 없는 입장"이라며 우려를 표한 만큼 삼성이 이재용 회장의 대국민 약속을 뒤집고 전경련 복귀 수순을 밟는 것은 부담이라는 의견도 있다.
한편, 전경련은 오는 22일 임시총회를 열어 전경련의 명칭을 한경협으로 바꾸고, 한경연을 한경협으로 흡수 통합하는 정관 변경안과 류진 풍산 회장을 한경협 회장으로 추대하는 안건 등을 의결한다. 4대 그룹이 명시적으로 거부 의사를 밝히지 않으면 종전의 한경연 회원 자격이 한경협으로 자동 승계된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