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위 '홍준표 10개월 당원권 정지' 놓고 갑론을박
당 안팎서 '형평성' 논란. "여야, 똥볼차기 경합하는듯"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회가 26일 '폭우 골프'로 논란이 된 홍준표 대구시장에 '당권권 정지 10개월' 징계를 내렸다.
국힘은 "민심을 중시한 결정"이라며 중징계임을 강조했으나, 진중권 광운대 겸임교수 같은 경우 "무슨 중징계냐. 경징계"라고 일축했다. 2006년 당시 한나라당(국민의힘 전신) 경기도당 위원장이던 홍문종 의원이 수해 지역에서 골프를 쳤다가 제명 처분을 받은 것과 비교할 때 그렇다는 거다.
더불어민주당 선다윗 부대변인은 27일 브리핑을 통해 "속전속결로 진행된 홍 시장의 징계와는 달리, 관할 구역에서 14명이 사망했음에도 늑장 대처한 김영환 지사는 윤리위에 회부되지도 않았다"며 "김 지사를 눈 감아주는 것은 무슨 연유인지 국민은 묻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사람’이기 때문이냐"고 형평성을 문제삼았다.
앞서 윤리위는 지난 5월 'JMS' 관련 SNS 게시, 제주 4·3사건 발언 등으로 물의를 빚은 태영호 전 최고위원에 '당원권 정지 3개월', 5·18 민주화 운동 및 제주 4·3 사건 폄하 발언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김재원 최고위원에 '정지 1년' 처분을 결정했다.
<중앙일보> 같은 보수지는 김재원, 태영호, 홍준표 등 거물급 정치인 3인의 징계를 거론하며 "민주당과는 달랐다"며 윤리위를 높게 평가했다.
하지만 국민의힘내 일각에서는 홍준표 시장이 평소 불편한 사이였던 김기현 대표에게 찍혀 생각보다 '중징계'를 받은 게 아니냐는 반응도 나온다. 당원권 정지 10개월이면 대구지역내 영향력이 만만치 않은 홍 시장은 내년 총선 대구지역 공천 개입이 원천봉쇄된다. 내년 4.10 총선때까지 홍 시장은 국민의힘 당원이 아니기 때문이다. 차기 대선 도전에도 '주홍글씨'가 새겨진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윤리위가 너무 사안에 따라 기준 없이 대응하다보니 권력 싸움에 이용한다는 시선이 강화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한 중진 의원은 "홍 시장이 잘못을 하기는 했지만 그동안에 사과도 하고 봉사활동도 3일 동안 하면서 나름대로 행동으로 보여주려고 노력을 했다"며 "조금 과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장성철 공론센터 소장은 "윤리위에 기준이 없다. 누구는 10개월, 누구는 6개월, 누구는 12개월 하고 누구는 또 징계도 안하고 그러한 불공정함에 대해 의구심이 없도록 행동을 잘해야 한다"며 "'불공정하다'는 인식을 주지 않기 위해 동일하고 엄격한 잣대와 기준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법원에도 기준 형량이 다 있듯이 양형 기준을 만들면 좋겠다"고 조언했다.
문제는 그러나 근본적으로 국민의힘을 비롯해 대통령실 등 여권 관계자들이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국민의 역린'을 건드리지 않는 조심스런 행보를 해야 한다는 점이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여야 지지율이 동반급락하는 반면 무당층이 역대 최대로 급증하고 있는 것은 여야의 민심 역행적 행보가 자초한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한 정계 관계자는 "지금 여야 모습을 보면 누가 더 똥볼을 많이 차느냐는 경쟁을 하는 것 같다"며 "이러고도 8개월여 뒤 유권자들에 표를 달라고 하는 것은 부끄럽지 않나"고 힐난했다.
국힘은 "민심을 중시한 결정"이라며 중징계임을 강조했으나, 진중권 광운대 겸임교수 같은 경우 "무슨 중징계냐. 경징계"라고 일축했다. 2006년 당시 한나라당(국민의힘 전신) 경기도당 위원장이던 홍문종 의원이 수해 지역에서 골프를 쳤다가 제명 처분을 받은 것과 비교할 때 그렇다는 거다.
더불어민주당 선다윗 부대변인은 27일 브리핑을 통해 "속전속결로 진행된 홍 시장의 징계와는 달리, 관할 구역에서 14명이 사망했음에도 늑장 대처한 김영환 지사는 윤리위에 회부되지도 않았다"며 "김 지사를 눈 감아주는 것은 무슨 연유인지 국민은 묻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사람’이기 때문이냐"고 형평성을 문제삼았다.
앞서 윤리위는 지난 5월 'JMS' 관련 SNS 게시, 제주 4·3사건 발언 등으로 물의를 빚은 태영호 전 최고위원에 '당원권 정지 3개월', 5·18 민주화 운동 및 제주 4·3 사건 폄하 발언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김재원 최고위원에 '정지 1년' 처분을 결정했다.
<중앙일보> 같은 보수지는 김재원, 태영호, 홍준표 등 거물급 정치인 3인의 징계를 거론하며 "민주당과는 달랐다"며 윤리위를 높게 평가했다.
하지만 국민의힘내 일각에서는 홍준표 시장이 평소 불편한 사이였던 김기현 대표에게 찍혀 생각보다 '중징계'를 받은 게 아니냐는 반응도 나온다. 당원권 정지 10개월이면 대구지역내 영향력이 만만치 않은 홍 시장은 내년 총선 대구지역 공천 개입이 원천봉쇄된다. 내년 4.10 총선때까지 홍 시장은 국민의힘 당원이 아니기 때문이다. 차기 대선 도전에도 '주홍글씨'가 새겨진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윤리위가 너무 사안에 따라 기준 없이 대응하다보니 권력 싸움에 이용한다는 시선이 강화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한 중진 의원은 "홍 시장이 잘못을 하기는 했지만 그동안에 사과도 하고 봉사활동도 3일 동안 하면서 나름대로 행동으로 보여주려고 노력을 했다"며 "조금 과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장성철 공론센터 소장은 "윤리위에 기준이 없다. 누구는 10개월, 누구는 6개월, 누구는 12개월 하고 누구는 또 징계도 안하고 그러한 불공정함에 대해 의구심이 없도록 행동을 잘해야 한다"며 "'불공정하다'는 인식을 주지 않기 위해 동일하고 엄격한 잣대와 기준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법원에도 기준 형량이 다 있듯이 양형 기준을 만들면 좋겠다"고 조언했다.
문제는 그러나 근본적으로 국민의힘을 비롯해 대통령실 등 여권 관계자들이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국민의 역린'을 건드리지 않는 조심스런 행보를 해야 한다는 점이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여야 지지율이 동반급락하는 반면 무당층이 역대 최대로 급증하고 있는 것은 여야의 민심 역행적 행보가 자초한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한 정계 관계자는 "지금 여야 모습을 보면 누가 더 똥볼을 많이 차느냐는 경쟁을 하는 것 같다"며 "이러고도 8개월여 뒤 유권자들에 표를 달라고 하는 것은 부끄럽지 않나"고 힐난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