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다급한 기시다 日총리, '아베노믹스'와 서둘러 결별

물가 폭등에 지지율 폭락하자 장기채권금리 인상

엔저에 따른 물가폭등으로 지지율이 레임덕 수준으로 급락하자 기시다 후미오 일본총리가 '아베노믹스'와의 결별을 앞당겼다.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은 20일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시장의 예상을 깨고 금융완화 정책을 일부 수정해 사실상 장기 금리를 인상했다.

일본은행은 이날 단기금리는 시장의 예상대로 -0.1%로 동결했으나 10년물 국채 금리는 변동 폭을 기존 '± 0.25% 정도'에서 '± 0.5% 정도'로 확대해 이날부터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장기 금리는 그동안 변동 폭 상한선(0.25%) 근처에서 움직여와 이번 조치는 사실상 금리 인상에 해당한다.

이는 급격한 엔저로 에너지와 식품 가격이 급등하면서 가계와 기업이 타격을 받아 기시다 내각 지지율이 레임덕 수준으로 급락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기시다 지지율은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물가 폭등에 따른 민심 이반으로 레임덕 수준인 30% 안팎으로 추락했다.

이에 당초 내년 4월 8일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 임기가 끝나면 폐기하려던 '마이너스 금리'를 앞당겨 해체하기 시작한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구로다 총재는 아베 신조 전 총리가 지난 2013년 1월 집권직후 발표한, 마이너스 금리를 골간으로 하는 '아베노믹스'의 설계자이자 집행자였다.

일본은행의 발표 뒤 일본 금융시장은 크게 요동쳤다.

장기 금리는 이날 오후 한때 0.460%까지 상승했으며 엔·달러 환율은 달러당 137엔대에서 133엔대로 급락했다. 일본 닛케이평균주가(닛케이225)는 장중 약 3% 급락했다가 2.5% 전후의 낙폭을 유지하고 있다.

아베 사망에 이어 아베노믹스도 동반사망하며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가는 양상이다.
박태견 기자

댓글이 4 개 있습니다.

  • 4 0
    윤석열의 친일이 아니라 매국이문제다

    https://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1032743.html
    윤석열 2022-2-25일 토론회에서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와
    [사드 추가배치] [미국 미사일방어체계 편입] [한미일 군사동맹 불추진]공방중
    [한미일 군사동맹시 유사시에 한반도에 일본이 개입하도록 허용할수도 있다]
    고 발언

  • 1 0
    일본방위상-사전동의없이자위대한반도진입

    http://www.hani.co.kr/arti/politics/defense/713870.html
    2015년10월20일.
    나카타니 겐 일본방위상이 [대한민국의 유효한 지배범위는
    휴전선남쪽이라는 일부의 지적도 있다]고 말했는데
    한반도 유사시 일본자위대의 북한진입이 [협의 대상]이 될수는
    있지만 [사전 동의 대상]은 아니라는뜻

  • 1 0
    윤석열-누리호 개발팀해체로 일본부역?

    누리호 주역 고정환 본부장-조직개편에 반발 사퇴의사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57588
    고 본부장은 “조직개편을 공표해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의
    연구개발 조직을 사실상 해체했다”며 “누리호 3차 발사-산업체로의
    기술 이전 등 산적한 국가적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수하는 것이 불가능
    하다"고 사퇴

  • 1 0
    푸틴

    스테로이드는 그냥 1회용이야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