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시다 日내각 지지율 20%대 급락. 정권 붕괴 위기
마이니치 조사서 29%…"적신호…기시다 정권 위기 상황"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지지율이 곤두박질치고 있다.
악재가 이어지고 만회할 수단이 마땅하지 않은 가운데 정권이 위기로 내몰릴 수 있다는 관측이 고개를 들고 있다.
마이니치신문은 일본 사회조사연구센터와 17∼18일 일본 유권자를 상대로 여론조사를 한 결과 기시다 내각에 대한 지지율이 29%로 집계됐다고 19일 보도했다.
이는 지난달 20∼21일 조사한 것보다 7%포인트 하락한 수준이며 마이니치 조사에서 지지율이 30% 밑으로 떨어진 것은 작년 10월 기시다 내각 발족 후 처음이다.
이번 조사에서 기시다 내각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답변은 지난달보다 10%포인트 상승해 64%에 달했다.
비판 여론이 지지율의 두 배가 넘는 상황이다.
집권 자민당 지지율은 6%포인트 떨어져 23%를 기록했다.
내각 지지율과 자민당 지지율을 합산하면 52%로 이른바 '아오키의 법칙'을 떠올리게 되는 상황이다.
아오키의 법칙은 내각 지지율과 자민당 지지율의 합이 50%보다 낮으면 정권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일종의 가설로 이를 제창한 것으로 알려진 아오키 미키오(靑木幹雄) 전 자민당 참의원 의원 간사장의 이름을 따서 명명됐다.
물론 마이니치신문의 조사에서 나온 지지율은 이달 16∼18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나온 결과(내각 지지율 43%, 자민당 지지율 37%)나 교도통신이 17∼18일 실시한 조사 결과(내각 지지율 40.2%, 자민당 지지율 39.3%)보다 현저하게 낮다.
현재의 지지율 수준을 나타내는 수치는 조사 주체에 따라 다르지만, 지지율이 급격하게 하락하고 있다는 것은 공통적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아오키 법칙은 일본 정계에서는 꽤 그럴듯하게 받아들여지는 측면이 있다.
가까운 예로 작년 8월 하순 마이니치의 여론조사에서 당시 스가 요시히데 내각의 지지율은 26%였고, 자민당 지지율도 26%를 기록해 둘을 합한 수치(52%)가 기시다 정권에 대한 이번 조사와 같은 수준이었다.
당시에도 마이니치의 조사에서 지지율이 유독 낮기는 했으나 스가는 조사 결과가 공표된 지 1주일도 안 돼 차기 총재 선거에 불출마하겠다며 사실상 사임을 예고했다.
정치평론가로 활동하는 마스조에 요이치 전 도쿄도 지사는 18일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마이니치의 여론조사 결과를 거론하며 "30%대가 황신호, 20%대는 적신호"라며 "기시다 정권은 위기 상황에 있다"고 진단했다.
기시다 정권의 인기가 떨어지는 이유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옛 통일교·이하 가정연합) 및 아베 신조 전 총리의 국장(國葬)이 꼽힌다.
가정연합은 신자에게 평범한 물건을 턱없이 비싸게 판매했다는 비판을 받았는데 자민당 정치인 다수가 이 교단과 직간접적으로 관계를 맺었으며, 심지어 선거 때 도움을 받은 사례도 있다는 의혹이 거듭 제기됐기 때문이다.
기시다 총리는 이 문제에 관해 사과했고, 자민당이 조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으나 유권자들은 이런 조치가 미흡하며 자민당이 가정연합과 관계를 끊지 못할 것이라며 냉소적인 반응을 보인다.
정치적 평가가 엇갈리는 아베 전 총리의 국장을 실시하기로 한 것도 유권자의 반발을 낳고 있다.
아베 전 총리 역시 가정연합과 깊은 관계를 맺은 것으로 보인다는 의혹이 제기됐으나 이를 규명하지 않은 상태로 법적인 근거가 불명확한 국장을 실시하는 것에 대해 유권자들은 수긍하지 못하고 있다.
악재가 이어지고 만회할 수단이 마땅하지 않은 가운데 정권이 위기로 내몰릴 수 있다는 관측이 고개를 들고 있다.
마이니치신문은 일본 사회조사연구센터와 17∼18일 일본 유권자를 상대로 여론조사를 한 결과 기시다 내각에 대한 지지율이 29%로 집계됐다고 19일 보도했다.
이는 지난달 20∼21일 조사한 것보다 7%포인트 하락한 수준이며 마이니치 조사에서 지지율이 30% 밑으로 떨어진 것은 작년 10월 기시다 내각 발족 후 처음이다.
이번 조사에서 기시다 내각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답변은 지난달보다 10%포인트 상승해 64%에 달했다.
비판 여론이 지지율의 두 배가 넘는 상황이다.
집권 자민당 지지율은 6%포인트 떨어져 23%를 기록했다.
내각 지지율과 자민당 지지율을 합산하면 52%로 이른바 '아오키의 법칙'을 떠올리게 되는 상황이다.
아오키의 법칙은 내각 지지율과 자민당 지지율의 합이 50%보다 낮으면 정권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일종의 가설로 이를 제창한 것으로 알려진 아오키 미키오(靑木幹雄) 전 자민당 참의원 의원 간사장의 이름을 따서 명명됐다.
물론 마이니치신문의 조사에서 나온 지지율은 이달 16∼18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나온 결과(내각 지지율 43%, 자민당 지지율 37%)나 교도통신이 17∼18일 실시한 조사 결과(내각 지지율 40.2%, 자민당 지지율 39.3%)보다 현저하게 낮다.
현재의 지지율 수준을 나타내는 수치는 조사 주체에 따라 다르지만, 지지율이 급격하게 하락하고 있다는 것은 공통적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아오키 법칙은 일본 정계에서는 꽤 그럴듯하게 받아들여지는 측면이 있다.
가까운 예로 작년 8월 하순 마이니치의 여론조사에서 당시 스가 요시히데 내각의 지지율은 26%였고, 자민당 지지율도 26%를 기록해 둘을 합한 수치(52%)가 기시다 정권에 대한 이번 조사와 같은 수준이었다.
당시에도 마이니치의 조사에서 지지율이 유독 낮기는 했으나 스가는 조사 결과가 공표된 지 1주일도 안 돼 차기 총재 선거에 불출마하겠다며 사실상 사임을 예고했다.
정치평론가로 활동하는 마스조에 요이치 전 도쿄도 지사는 18일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마이니치의 여론조사 결과를 거론하며 "30%대가 황신호, 20%대는 적신호"라며 "기시다 정권은 위기 상황에 있다"고 진단했다.
기시다 정권의 인기가 떨어지는 이유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옛 통일교·이하 가정연합) 및 아베 신조 전 총리의 국장(國葬)이 꼽힌다.
가정연합은 신자에게 평범한 물건을 턱없이 비싸게 판매했다는 비판을 받았는데 자민당 정치인 다수가 이 교단과 직간접적으로 관계를 맺었으며, 심지어 선거 때 도움을 받은 사례도 있다는 의혹이 거듭 제기됐기 때문이다.
기시다 총리는 이 문제에 관해 사과했고, 자민당이 조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으나 유권자들은 이런 조치가 미흡하며 자민당이 가정연합과 관계를 끊지 못할 것이라며 냉소적인 반응을 보인다.
정치적 평가가 엇갈리는 아베 전 총리의 국장을 실시하기로 한 것도 유권자의 반발을 낳고 있다.
아베 전 총리 역시 가정연합과 깊은 관계를 맺은 것으로 보인다는 의혹이 제기됐으나 이를 규명하지 않은 상태로 법적인 근거가 불명확한 국장을 실시하는 것에 대해 유권자들은 수긍하지 못하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