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중국의 사드벽 설치 요구 아예 없었다"
"한중 외교실무자간에는 여러 의견 오갈 수 있지만"
청와대는 24일 중국이 사드레이더 중국방향 차단벽 설치를 요구했다는 <문화일보> 보도에 대해 "그런 요구는 아예 없었다"고 거듭 부인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오전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중간 무겁게 합의한 원칙, 사드문제는 더이상 언급하지 않고 미래로 간다는 기조에 변함이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한중 외교실무자간 접촉과 대화속에서 여러가지 의견이 오갈 수 있지만 그것은 외교적 실무당국자의 줄다리기 정도로 이해해야 한다"며 "실무당국자간 줄다리기를 한중 정상간 합의 기조의 변화로 해석하는 것은 굉장히 무리나는 것이 청와대의 입장이고 중국도 동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한중 외교장관 회담에서 사드 문제의 '단계적 처리'를 주장한 것에 대해서도 "중국측이 한국정부에 '단계적 처리'는 '스텝 바이 스텝'이 아니라 '현단계'라는 의미라고 설명해왔다"고 전했다.
그는 문재인 대통령이 아베 일본총리의 한중일 정상회담 연내 개최 요구를 거절했다는 보도와 관련해선 "사실과 다르다. 문 대통령은 시진핑 주석을 만났을 때도 한중일 정상회담을 조속히 개최하자는 입장을 피력한 바 있다"며 "한중일 회담이 안잡히는 건 한국 입장보다 중국의 입장이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오전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중간 무겁게 합의한 원칙, 사드문제는 더이상 언급하지 않고 미래로 간다는 기조에 변함이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한중 외교실무자간 접촉과 대화속에서 여러가지 의견이 오갈 수 있지만 그것은 외교적 실무당국자의 줄다리기 정도로 이해해야 한다"며 "실무당국자간 줄다리기를 한중 정상간 합의 기조의 변화로 해석하는 것은 굉장히 무리나는 것이 청와대의 입장이고 중국도 동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한중 외교장관 회담에서 사드 문제의 '단계적 처리'를 주장한 것에 대해서도 "중국측이 한국정부에 '단계적 처리'는 '스텝 바이 스텝'이 아니라 '현단계'라는 의미라고 설명해왔다"고 전했다.
그는 문재인 대통령이 아베 일본총리의 한중일 정상회담 연내 개최 요구를 거절했다는 보도와 관련해선 "사실과 다르다. 문 대통령은 시진핑 주석을 만났을 때도 한중일 정상회담을 조속히 개최하자는 입장을 피력한 바 있다"며 "한중일 회담이 안잡히는 건 한국 입장보다 중국의 입장이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