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옥션, 청와대, 국회, 국방부, 외교통상부, 한나라당, 신한은행, 외환은행, 농협, 조선닷컴 등 국내외 주요 25개 사이트가 7일 오후 동시에 해킹 공격을 받아 마비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마치 영화 <다이하드4>를 연상케 하는 사이버테러 발발이다.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는 8일 "어제 오후부터 청와대 등 정부기관과 언론사 홈페이지 등 25개 사이트가 공격을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며 "전담 수사반을 편성해 해킹에 대한 수사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해킹당한 사이트 25개 중 국내 사이트는 청와대, 국회, 국방부, 외교통상부, 한나라당, 조선일보, 옥션, 농협, 신한은행, 외한은행, 네이버 등 11개로 파악됐다.
미국 사이트는 백악관 외에 국토안보부, 연방항공청, 국무부, 문화재부, 연방거래위원회, 연방우체국, 뉴욕증권거래소, 주한미군, 옥션(미국 사이트), 야후, VOA뉴스, 워싱턴포스트, US뱅크 등 14개다.
경찰은 이번 공격이 대용량의 정보를 특정 사이트에 보내 마비시키는 DDos(분산서비스거부공격)로 추정하고 근원지를 추적 중이다. 경찰은 현재 중국 등 제3국 쪽에서 해킹 공격이 전개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국의 주요기관들이 해킹을 당하면서 한국과 연결된 미 백악관, 국무부 등 정부 사이트 접속에도 이상이 발견되면서, 한미 당국간 협의에 따라 이들 미국 정부기관에의 접속이 일시 차단되기도 했다.
이번 사이버 테러는 보안이 취약한 PC를 경유한 사이버 공격으로, 7일 오후 6시께부터 시작돼 서비스 접속이 안되거나 속도가 느려졌다. 이에 해당 사이트들은 사용자들에게 사과 공고를 낸 뒤 복귀 작업에 나서 대부분의 사이트는 4시간 후인 밤 10시께부터 정상화됐으나 일부는 밤늦게까지 접속 장애가 계속되기도 했다.
이번 사이버 테러는 정부기관, 정당, 포털, 금융기관, 언론 등 한국의 주요기관을 동시에 마비시켰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사이버보안 능력이 얼마나 취약한가를 드러냈다는 점에서 일파만파의 후폭풍을 예고하고 있다.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 직원들이 초유의 주요기관 동시 사이버테러의 원인을 찾기 위해 부심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