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학규-박재승, '비례대표 선정권' 갈등 이면은?
고건-정운찬-박원순, 차기대선주자 '비례대표 영입론' 솔솔
밀월을 구가하던 대통합민주신당의 손학규 대표와 박재승 공천심사위원장이 '비례대표 선정권'을 놓고 충돌, 파문이 일고 있다.
손학규-박재승, '비례대표 선정권' 갈등
발단은 손학규 대표가 최근 영남을 방문한 자리에서 전국정당화를 위해 비례대표를 영남 출신들에게 대거 할당하겠다고 밝히면서 시작됐다. 손 대표는 이 자리에서 비례대표 선정권은 자신에게 있음을 강조했다. 앞서 손 대표는 민주당과 통합 합의 과정에 비례대표 선정은 공심위와는 별도의 기구에서 맡기로 박상천 민주당 대표와 합의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박재승 공심위 위원장이 제동을 걸고 나섰다. 그는 손 대표에게 "지역구 공천과 비례대표 선정은 함께 공심위에서 하는 것이 이론적으로 옳다"며 비례대표 선정권도 공심위에 넘겨줄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그는 공심위가 구성되면 정식으로 이같은 요구를 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해 손 대표측은 '수용 불가' 입장을 밝히고 있다. 지역공천에 관한 한 이미 전권을 넘겨준 마당에 비례대표 선정권까지 넘겨달라는 것은 과도한 요구라는 주장이다. 박상천 대표측도 당연히 수용 불가 입장이다.
일각서, 고건-정운찬-박원순 영입론 제기
비례대표 선정권을 둘러싼 갈등과 관련, 당내 일각에서는 갈등이 단순히 헤게모니 차원의 싸움을 넘어서 신당 혁신 및 총선 전략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치열한 선거운동을 치루지 않고 의원이 될 수 있는 비례대표는 사실상 엄청난 특권. 과거에는 이에 비례대표가 총선자금 조달 창구로 사용되기도 했다. 하지만 선거 공영제가 실시되면서 비례대표는 인재풀의 주요창구이자, 당 지도부의 헤게모니 창구로 활용돼 왔다.
하지만 신당 내에서는 이런 패러다임을 깰 때만 4월 총선에서 한가닥 기대를 걸면서 정치적 회생이 가능하다며, 재야의 차기대선주자 등 거물급들을 대거 영입하는 창구로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즉 지난해 대선출마를 포기한 고건 전총리, 정운찬 전 서울대총장을 비롯해 유력한 차기대선주자로 거론되는 박원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 등 거물급들을 비례대표로 대거 영입하고, 대신 손학규-정동영-강금실 등 신당 지도부 및 차기대권주자군은 지역총선에 출마하는 백의종군 자세를 보일 때만 국민적 신뢰를 되찾을 수 있을 것이란 주장이다. 특히 고건 전총리는 호남, 정운찬 전총장은 충청, 박원순 이사는 수도권에 상징적 영향력을 갖고 있어, 이들을 비례대표로 영입할 경우 파급효과가 클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럴 경우 손 대표나 정동영 전 장관 등은 강력한 경쟁자들을 당내에 끌어들이는 결과를 낳는만큼 고심할 수 밖에 없는 대목이다. 요컨대 손학규-박재승간 '비례대표 선정권' 갈등도 이런 맥락에서 비롯되고 있는 게 아니냐는 게 일각의 해석이다.
갈등의 본질은 아직 수면밑에 있다. 그러나 공천작업이 진행되면서 가까운 시일내 갈등의 본질이 부상할 전망이어서 귀추가 주목되는 상황이다.
손학규-박재승, '비례대표 선정권' 갈등
발단은 손학규 대표가 최근 영남을 방문한 자리에서 전국정당화를 위해 비례대표를 영남 출신들에게 대거 할당하겠다고 밝히면서 시작됐다. 손 대표는 이 자리에서 비례대표 선정권은 자신에게 있음을 강조했다. 앞서 손 대표는 민주당과 통합 합의 과정에 비례대표 선정은 공심위와는 별도의 기구에서 맡기로 박상천 민주당 대표와 합의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박재승 공심위 위원장이 제동을 걸고 나섰다. 그는 손 대표에게 "지역구 공천과 비례대표 선정은 함께 공심위에서 하는 것이 이론적으로 옳다"며 비례대표 선정권도 공심위에 넘겨줄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그는 공심위가 구성되면 정식으로 이같은 요구를 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해 손 대표측은 '수용 불가' 입장을 밝히고 있다. 지역공천에 관한 한 이미 전권을 넘겨준 마당에 비례대표 선정권까지 넘겨달라는 것은 과도한 요구라는 주장이다. 박상천 대표측도 당연히 수용 불가 입장이다.
일각서, 고건-정운찬-박원순 영입론 제기
비례대표 선정권을 둘러싼 갈등과 관련, 당내 일각에서는 갈등이 단순히 헤게모니 차원의 싸움을 넘어서 신당 혁신 및 총선 전략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치열한 선거운동을 치루지 않고 의원이 될 수 있는 비례대표는 사실상 엄청난 특권. 과거에는 이에 비례대표가 총선자금 조달 창구로 사용되기도 했다. 하지만 선거 공영제가 실시되면서 비례대표는 인재풀의 주요창구이자, 당 지도부의 헤게모니 창구로 활용돼 왔다.
하지만 신당 내에서는 이런 패러다임을 깰 때만 4월 총선에서 한가닥 기대를 걸면서 정치적 회생이 가능하다며, 재야의 차기대선주자 등 거물급들을 대거 영입하는 창구로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즉 지난해 대선출마를 포기한 고건 전총리, 정운찬 전 서울대총장을 비롯해 유력한 차기대선주자로 거론되는 박원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 등 거물급들을 비례대표로 대거 영입하고, 대신 손학규-정동영-강금실 등 신당 지도부 및 차기대권주자군은 지역총선에 출마하는 백의종군 자세를 보일 때만 국민적 신뢰를 되찾을 수 있을 것이란 주장이다. 특히 고건 전총리는 호남, 정운찬 전총장은 충청, 박원순 이사는 수도권에 상징적 영향력을 갖고 있어, 이들을 비례대표로 영입할 경우 파급효과가 클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럴 경우 손 대표나 정동영 전 장관 등은 강력한 경쟁자들을 당내에 끌어들이는 결과를 낳는만큼 고심할 수 밖에 없는 대목이다. 요컨대 손학규-박재승간 '비례대표 선정권' 갈등도 이런 맥락에서 비롯되고 있는 게 아니냐는 게 일각의 해석이다.
갈등의 본질은 아직 수면밑에 있다. 그러나 공천작업이 진행되면서 가까운 시일내 갈등의 본질이 부상할 전망이어서 귀추가 주목되는 상황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