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 '복당' 예고, DJ와 전면전 불가피
'노무현당'과 DJ 영향력하 '범여권 신당'간 전쟁 예고
노무현 대통령이 열린우리당 '복당' 의사를 밝혔다. 지난 2월 28일 열린우리당 탈당후 채 석달도 되지 않은 시점에 나온 발언이어서, '위장 탈당' 의혹이 확산될 전망이다.
盧 "내가 복당해서라도 당 지키겠다"
노 대통령은 4.25 재보선 직후인 지난 달 27일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의 요청으로 청와대에서 정 전의장을 만난 자리에서 정 전의장이 2.14 전당대회 대국민약속인 '열린우리당 해체-대통합신당 창당'의 이행을 압박하며 2차 집단탈당을 예고하자, 노 대통령은 "(집단탈당으로) 당이 껍데기만 남으면 내가 다시 복당해서라도 당을 지키겠다"고 말한 것으로 6일 알려졌다.
노 대통령은 또 정 전의장에게 "당원들의 의사를 묻고 정당한 절차를 거쳐서 하는 통합에는 반대하지 않지만 대상도, 방법도, 시기도 없이 통합만 얘기하는 것은 반대한다"며 대통합 추진에 반대한다는 '당 사수' 의지를 거듭 분명히 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노 대통령은 또 이날 정 전의장이 강력 추진을 요구한 남북정상회담과 'DJ 대북특사' 파견 요구에 대해서도 조기 남북정상회담 추진에 부정적 견해를 밝히는 등 정 전의장과 뚜렷한 시각차를 드러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날 회동은 문재인 비서실장이 배석한 가운데 1시간 20분가량 오찬 회동 형식으로 이뤄졌다.
盧 컴백시 '노무현 대 DJ' 대립전선 복격화
노 대통령의 '복당'은 전제조건을 깐 것이기는 하나 복당을 희망하는 노대통령의 속내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같은 속내는 노무현-정동영 회동후 노대통령이 <청와대 브리핑>에 띄운 일련의 글과, 이강철 정무특보-유시민 보건복지부장관 등 친노세력의 정동영-김근태 출당 요구 등에서도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요컨대 노 대통령은 '지역주의' 반대를 기치로 열린우리당 사수를 선언하면서 차제에 열린당에 복귀에 '노무현당'의 컬러를 분명히 하겠다는 구상을 갖고 있는 것이다.
노 대통령의 지난 2월 28일 탈당도 사실상 자의에 의한 게 아니었다. 연초 열린우리당 1차 집단탈당으로 추가탈당시 열린우리당 공중분해가 우려되자 노대통령은 탈당 카드를 꺼내듦으로써 추가탈당을 막았다. 전술적 탈당이었던 셈.
그후 2차 탈당 움직임이 수그러들고 한미FTA 체결후 자신의 지지율이 30% 전후로 높아지자 노대통령은 회심의 미소를 짓고 이번에 열린당내 비노-반노세력의 출당 및 자신의 복당 카드를 꺼내든 셈이다.
노 대통령의 이같은 선택에는 현재 진행중인 범여권 대통합의 헤게모니를 김대중 전대통령에게 넘겨줄 경우 퇴임후 설땅이 없다는 판단이 큰 작용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DJ는 그동안 일관되게 '범여권 대통합'을 주장하며 민주당과 열린우리당 합당 등 범여권의 단합을 주장해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노 대통령의 열린우리당 복당은 DJ 영향력 아래로 비노-반노권의 결집을 가속화하는 동시에, 한미FTA로 일부 회복된 노 대통령 지지율의 재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과연 향후 정국이 노대통령 뜻대로 흘러갈 지는 지켜볼 일이다.
盧 "내가 복당해서라도 당 지키겠다"
노 대통령은 4.25 재보선 직후인 지난 달 27일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의 요청으로 청와대에서 정 전의장을 만난 자리에서 정 전의장이 2.14 전당대회 대국민약속인 '열린우리당 해체-대통합신당 창당'의 이행을 압박하며 2차 집단탈당을 예고하자, 노 대통령은 "(집단탈당으로) 당이 껍데기만 남으면 내가 다시 복당해서라도 당을 지키겠다"고 말한 것으로 6일 알려졌다.
노 대통령은 또 정 전의장에게 "당원들의 의사를 묻고 정당한 절차를 거쳐서 하는 통합에는 반대하지 않지만 대상도, 방법도, 시기도 없이 통합만 얘기하는 것은 반대한다"며 대통합 추진에 반대한다는 '당 사수' 의지를 거듭 분명히 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노 대통령은 또 이날 정 전의장이 강력 추진을 요구한 남북정상회담과 'DJ 대북특사' 파견 요구에 대해서도 조기 남북정상회담 추진에 부정적 견해를 밝히는 등 정 전의장과 뚜렷한 시각차를 드러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날 회동은 문재인 비서실장이 배석한 가운데 1시간 20분가량 오찬 회동 형식으로 이뤄졌다.
盧 컴백시 '노무현 대 DJ' 대립전선 복격화
노 대통령의 '복당'은 전제조건을 깐 것이기는 하나 복당을 희망하는 노대통령의 속내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같은 속내는 노무현-정동영 회동후 노대통령이 <청와대 브리핑>에 띄운 일련의 글과, 이강철 정무특보-유시민 보건복지부장관 등 친노세력의 정동영-김근태 출당 요구 등에서도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요컨대 노 대통령은 '지역주의' 반대를 기치로 열린우리당 사수를 선언하면서 차제에 열린당에 복귀에 '노무현당'의 컬러를 분명히 하겠다는 구상을 갖고 있는 것이다.
노 대통령의 지난 2월 28일 탈당도 사실상 자의에 의한 게 아니었다. 연초 열린우리당 1차 집단탈당으로 추가탈당시 열린우리당 공중분해가 우려되자 노대통령은 탈당 카드를 꺼내듦으로써 추가탈당을 막았다. 전술적 탈당이었던 셈.
그후 2차 탈당 움직임이 수그러들고 한미FTA 체결후 자신의 지지율이 30% 전후로 높아지자 노대통령은 회심의 미소를 짓고 이번에 열린당내 비노-반노세력의 출당 및 자신의 복당 카드를 꺼내든 셈이다.
노 대통령의 이같은 선택에는 현재 진행중인 범여권 대통합의 헤게모니를 김대중 전대통령에게 넘겨줄 경우 퇴임후 설땅이 없다는 판단이 큰 작용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DJ는 그동안 일관되게 '범여권 대통합'을 주장하며 민주당과 열린우리당 합당 등 범여권의 단합을 주장해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노 대통령의 열린우리당 복당은 DJ 영향력 아래로 비노-반노권의 결집을 가속화하는 동시에, 한미FTA로 일부 회복된 노 대통령 지지율의 재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과연 향후 정국이 노대통령 뜻대로 흘러갈 지는 지켜볼 일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