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네이버>, 기자수·기사수 순으로 뉴스편집하라"
<네이버> "여러 검토의견 중 하나일 뿐"
새누리당이 <네이버>의 뉴스편집 기준에 언론사의 기자수와 기사수를 포함시켜야한다고 주장해 조중동을 비롯한 보수언론 위주로 <네이버> 뉴스를 재편하려는 것 아니냐는 비판을 낳았다.
30일 IT전문매체인 <아이뉴스24>에 따르면, 새누리당은 <네이버>의 뉴스편집 기준은 주관적 요소가 들어갈 수 있다며 뉴스편집에 '<구글>식 알고리즘'을 적용할 것을 요구했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명확한 기준으로 기사를 올릴 때는 <조선일보> 기사가 올라왔든 <한겨레> 기사가 올라왔든 뭐라 말할 수 없지만, 지금 <네이버>가 말하는 자체원칙은 주관적인 기준이 많이 들어가 있고, 특히 메인 뉴스는 사람의 손에 의해 뽑기 때문에 주관적"이라며 "기자수나 기사수와 같은 객관적인 지표를 뉴스편집의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구글> 알고리즘'을 적용하라는 건 포털 길들이기가 아니라 기계적 수치에 의해 기사를 보여달라는 것"이라고 말한 뒤, "<네이버>는 언론사의 기사를 유통시켜주는 매개체이므로, 유통 기준을 명확하게 해야한다. 기계적 알고리즘으로 바꾸라는 건 포털 길들이기와는 별도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구글>은 기사 생산량, 기사의 길이, 보도의 범위, 속보기사 출처, 언론사 신뢰도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 방문자수와 트래픽, 언론사의 기자수 및 사무실수, 보도대상의 실명성, 보도범위 크기, 글로벌 도달율, 뉴스기사 양식 등 13가지 평가 영역을 갖춘 뉴스편집 알고리즘을 공개하고 특허를 낸 바 있다.
반면 <네이버>가 공개한 뉴스편집 기준은 ▲다양한 정보의 신속하고 정확한 전달, ▲균형잡힌 편집으로 정치적 중립(특정 계층의 논조나 입장을 지양하고 균형있는 정보를 제공 등) ▲사회적 공익가치 존중(상업적이거나 선정 적인 내용의 기사 지양 등) ▲이용자와 양방향 소통 구현(정정·반론·추후보도 기사 모음), ▲개인의 인격권 보호 등 5가지다.
<네이버> 관계자는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구글>식 알고리즘' 적용 방안에 대해 "여러 검토 의견 중 하나일 뿐 정해진 바 없다"고 검토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방침을 정해지 못해 뉴스 검색에 대한 내용은 이번 발표대상에 포함되지 않을 것"이라고 확답을 피했다.
한편, 박범계 민주당 의원은 지난 8월 국정조사 청문회에서 "작년 12월 권영세 상황실장이 기자를 앉혀 놓고 한 이야기가 그대로 현재 진행되고 있다"며 "(당시 권 실장이) '모바일로는 조중동이 안 들어가니까 조중동을 대선 이후라도 대선 전까지라도 들어가게 해야 하거든. 모바일 네이버 뉴스를 보면 포털 뉴스에 조중동이 안들어가고 있거든, 그러니 맨 겉에 뜨는게 경향 사진 삐딱한 게 많이 뜨지. 조중동 내용을 집어넣어야 하는데 마이너들이 채우고'라고 말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30일 IT전문매체인 <아이뉴스24>에 따르면, 새누리당은 <네이버>의 뉴스편집 기준은 주관적 요소가 들어갈 수 있다며 뉴스편집에 '<구글>식 알고리즘'을 적용할 것을 요구했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명확한 기준으로 기사를 올릴 때는 <조선일보> 기사가 올라왔든 <한겨레> 기사가 올라왔든 뭐라 말할 수 없지만, 지금 <네이버>가 말하는 자체원칙은 주관적인 기준이 많이 들어가 있고, 특히 메인 뉴스는 사람의 손에 의해 뽑기 때문에 주관적"이라며 "기자수나 기사수와 같은 객관적인 지표를 뉴스편집의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구글> 알고리즘'을 적용하라는 건 포털 길들이기가 아니라 기계적 수치에 의해 기사를 보여달라는 것"이라고 말한 뒤, "<네이버>는 언론사의 기사를 유통시켜주는 매개체이므로, 유통 기준을 명확하게 해야한다. 기계적 알고리즘으로 바꾸라는 건 포털 길들이기와는 별도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구글>은 기사 생산량, 기사의 길이, 보도의 범위, 속보기사 출처, 언론사 신뢰도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 방문자수와 트래픽, 언론사의 기자수 및 사무실수, 보도대상의 실명성, 보도범위 크기, 글로벌 도달율, 뉴스기사 양식 등 13가지 평가 영역을 갖춘 뉴스편집 알고리즘을 공개하고 특허를 낸 바 있다.
반면 <네이버>가 공개한 뉴스편집 기준은 ▲다양한 정보의 신속하고 정확한 전달, ▲균형잡힌 편집으로 정치적 중립(특정 계층의 논조나 입장을 지양하고 균형있는 정보를 제공 등) ▲사회적 공익가치 존중(상업적이거나 선정 적인 내용의 기사 지양 등) ▲이용자와 양방향 소통 구현(정정·반론·추후보도 기사 모음), ▲개인의 인격권 보호 등 5가지다.
<네이버> 관계자는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구글>식 알고리즘' 적용 방안에 대해 "여러 검토 의견 중 하나일 뿐 정해진 바 없다"고 검토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방침을 정해지 못해 뉴스 검색에 대한 내용은 이번 발표대상에 포함되지 않을 것"이라고 확답을 피했다.
한편, 박범계 민주당 의원은 지난 8월 국정조사 청문회에서 "작년 12월 권영세 상황실장이 기자를 앉혀 놓고 한 이야기가 그대로 현재 진행되고 있다"며 "(당시 권 실장이) '모바일로는 조중동이 안 들어가니까 조중동을 대선 이후라도 대선 전까지라도 들어가게 해야 하거든. 모바일 네이버 뉴스를 보면 포털 뉴스에 조중동이 안들어가고 있거든, 그러니 맨 겉에 뜨는게 경향 사진 삐딱한 게 많이 뜨지. 조중동 내용을 집어넣어야 하는데 마이너들이 채우고'라고 말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