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백만불 사나이' 꿈이 아닌 현실로
인간 신체 대신할 수 있는 장치 속속 개발
과학기술의 발달로 초소형 기계장치들이 속속 개발되면서 조만간 '6백만불 사나이'가 현실이 될 수 있을 전망이다. 특히 최근 개발 중인 장치들은 장애를 겪고 있는 많은 사람들의 불편함을 덜어 줄 것으로 기대된다.
'6백만불 사나이'는 1970년대 인기를 끌었던 TV프로그램으로 극중 우주 비행사인 스티븐 마틴은 사고로 잃은 양다리와 오른팔 그리고 왼쪽 눈을 모두 기계로 교체해 초인적 능력을 갖게 됐다.
<텔레그래프>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2006 실험생물학회에 참석한 과학자들이 '6백만불 사나이'가 더 이상 가상이 아니라 현실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고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과학기술 발전으로 신체 대신할 장치 개발
<발> 버클리 대학의 호마윤 카즈루니 박사는 컴퓨터가 제어하는 로봇 발을 개발했으며 이 발은 2백 파운드 이상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다.
카즈로니 박사는 기계 발이 노인들의 이동권을 개선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군관계자는 기계 발이 병사들에게 더 많은 중량을 운반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 비슷한 장치가 일본에서 선보이기도 했다. 일본 산악인은 이번에 공개한 장비를 이용 사고로 두 다리를 잃은 장애인과 근육병을 앓고 있는 청소년을 업고 산악 등반에 나설 예정이다.
<손> 루거 대학의 윌리암 크래리어스 박사는 인공 손을 개발했다. 이 인공 손은 사람 몸 안의 신경과 연결해 기계 손가락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설계 되었다.
'덱스트라'라고 불리는 이 손은 팔꿈치 밑에 연결해 사용하게 되며 훈련을 통해 진짜 손가락처럼 피아노도 연주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눈> 스텐포드 대학의 대니얼 파란커 교수는 생체 눈을 발명했다. 인공 망막을 이용한 이 생체 눈은 지갑크기의 컴퓨터에 연결돼 있다. 생체 눈안에는 쌀 반톨 만한 건전지가 숨겨져 있으며 인공망막은 빛을 감지하고 특수 안경에 부착된 초소형 카메라는 사물을 인식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이 장치를 이용하면 망막이 손상돼 시력을 잃은 사람들에게 크게 인쇄된 글씨를 읽을 수 있을 정도의 시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귀> 독일 사르랜드 대학의 베너 나츠티겔 교수는 뇌와 귀가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연구해 '전자 생체'라 불리는 청각장치를 개발했다. 이 장치는 귀 밖에 소리를 듣는 마이크와 전자신호로 전환시켜 피부로 전달시켜주는 장치로 이루어져 있어 신경세포를 자극해 소리를 듣도록 고안됐다.
'6백만불 사나이'는 1970년대 인기를 끌었던 TV프로그램으로 극중 우주 비행사인 스티븐 마틴은 사고로 잃은 양다리와 오른팔 그리고 왼쪽 눈을 모두 기계로 교체해 초인적 능력을 갖게 됐다.
<텔레그래프>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2006 실험생물학회에 참석한 과학자들이 '6백만불 사나이'가 더 이상 가상이 아니라 현실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고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과학기술 발전으로 신체 대신할 장치 개발
<발> 버클리 대학의 호마윤 카즈루니 박사는 컴퓨터가 제어하는 로봇 발을 개발했으며 이 발은 2백 파운드 이상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다.
카즈로니 박사는 기계 발이 노인들의 이동권을 개선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군관계자는 기계 발이 병사들에게 더 많은 중량을 운반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 비슷한 장치가 일본에서 선보이기도 했다. 일본 산악인은 이번에 공개한 장비를 이용 사고로 두 다리를 잃은 장애인과 근육병을 앓고 있는 청소년을 업고 산악 등반에 나설 예정이다.
<손> 루거 대학의 윌리암 크래리어스 박사는 인공 손을 개발했다. 이 인공 손은 사람 몸 안의 신경과 연결해 기계 손가락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설계 되었다.
'덱스트라'라고 불리는 이 손은 팔꿈치 밑에 연결해 사용하게 되며 훈련을 통해 진짜 손가락처럼 피아노도 연주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눈> 스텐포드 대학의 대니얼 파란커 교수는 생체 눈을 발명했다. 인공 망막을 이용한 이 생체 눈은 지갑크기의 컴퓨터에 연결돼 있다. 생체 눈안에는 쌀 반톨 만한 건전지가 숨겨져 있으며 인공망막은 빛을 감지하고 특수 안경에 부착된 초소형 카메라는 사물을 인식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이 장치를 이용하면 망막이 손상돼 시력을 잃은 사람들에게 크게 인쇄된 글씨를 읽을 수 있을 정도의 시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귀> 독일 사르랜드 대학의 베너 나츠티겔 교수는 뇌와 귀가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연구해 '전자 생체'라 불리는 청각장치를 개발했다. 이 장치는 귀 밖에 소리를 듣는 마이크와 전자신호로 전환시켜 피부로 전달시켜주는 장치로 이루어져 있어 신경세포를 자극해 소리를 듣도록 고안됐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