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25일 전국의대교수협의회가 '정부에 가장 큰 책임이 있으며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았다'고 비판한 데 대해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의사들이 의대 증원으로 환자의 목숨을 걸고 집단사직하거나 의대생이 집단휴학서를 내는 극단적 행동을 하는 경우는 없었다"고 반박했다.
김수경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의대교수협 주장에 대해 이같이 조목조목 반박했다.
김 대변인은 '정부가 의료계 문제 해결 노력도 하지 않고 의대 증원을 발표했다'는 비판에 대해서도 "사실과 다르다"며 "대통령은 역대 어떤 대통령보다 의료현장에 관심을 갖고 의사, 환자와 보호자 등 전문가의 의견에 귀기울여왔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으로 "지역의료고민과 필수의료강화와 관련해 서울대 병원을 방문해 의료진, 환자, 보호자와 간담회를 갖고 소아의료체계의 조속한 개선을 지시한 바 있다"며 "지난 해 10월 18일 충북대 병원을 방문해 필수의료혁신전략회의를 주재해 의료계와 교육계의 의견을 수렴한 바 있고, 올해 1월에는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의료 개혁을 주제로 민생토론회를 주재하고 의료사고에 대한 의료인들의 법적 부담 완화를 위한 수사절차 개선을 지시했고 이는 즉각 반영됐다"고 열거했다.
아울러 "정부 역시 지역의료.필수의료 강화와 의사 확충을 위해 의료계 및 각계를 대상으로 130여회 의견수렴을 진행했고, 특히 의협과는 별도 협의체를 구성해 필수의료정책과 의사인력 확충에 대해 28차례 협의를 진행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의료진의 현장 이탈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의료인들은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기 위해 환자 곁을 지켜달라"고 당부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사태 해결을 위한 의료계와의 대화 여부에 대해 "대화의 문은 열려있다"면서도 "도저히 대화할 수 없는 조건을 내걸면서 그것이 관철돼야만 대화에 임하겠다라는 것은 사실상 대화에 임하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도저히 대화할 수 없는 조건'으로 의대 정원 증원 축소, 4대 의료패키지 전면 철회 요구 등을 언급한 뒤, "의협과 28차례 이야기하며 의사들이 원하는 정원이 어느 정도인지 말해달라고 했을 때 별다른 반응이 없었다"며 "굉장히 방어적으로 소극적으로 대응하다가 2천명이라는 추계가 나오자 너무 극단적으로 반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현재 국민을 볼모로 하는 건 안된다. 협상의 대상이 될 수 없다"며 "의료계 패키지를 말하며 의료개혁특별위원회를 대통령 직속을 만들겠다고 한 것 자체가 대화의 문을 열어놓은 것이다. 지금 국민을 볼모로 하는 이런 부분은 안되고 빨리 복귀해야 한다. 대화의 문은 항상 열려 있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2006-2025 Views&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