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법원이 29일 400조원이 넘는 천문학적 빚더미에 앉은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恒大·에버그란데)에 대해 청산 명령을 내렸다.
<로이터통신><AFP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홍콩 고등법원은 전 세계 건설업체 가운데 가장 빚이 많은 부동산 개발업체인 헝다를 청산해 달라는 채권자들의 청원을 승인했다. 헝다 청산 청구소송은 지난 2022년 진행돼 왔다.
린다 챈 판사는 “청문회가 1년 반 동안 지속됐지만 회사는 여전히 3천280억달러(우리돈 약 438조원)의 부채를 재조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조조정 제안을 내놓지 못했다”며 청산명령 이유를 설명했다. 헝다의 보유재산은 2천400억달러로 부채에 크게 밑도는 것으로 알려진다.
청산 명령 직후 헝다 주가는 20% 넘게 폭락했고, 즉각 홍콩 증시에 상장된 헝다 그룹 관련 주식들에 대한 거래 중단 조치가 내려졌다.
중국 최대 부동산 재벌이었던 헝다는 2021년부터 부동산거품이 꺼지면서 유동성 위기에 빠지자 지난 2021년 말 채무불이행(디폴트)을 선언했다.
이에 지난 2022년 6월 헝다 주요 투자자인 톱샤인글로벌이 헝다의 8억6천250만홍콩달러 규모 채무 불이행을 이유로 청산 소송을 제기했다.
홍콩 법원의 청산 명령은 중국 정부와도 사전 교감하에 이뤄진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 정부는 파산 위기에 직면한 헝다와 비구이위안 등에 대해 "장기적 계획에 따라 시장을 재편하고 있으며, 경쟁력이 낮아 정리돼야 할 기업들이 정리 대상으로 추려져 있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따라서 헝다 청산은 시장의 불확실성을 제거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이나, 구조조정 과정에 막대한 공적자금 투입 등이 불가피하며 다른 건설사 연쇄도산으로 이어질 개연성이 높아 올해 중국 내수경기 침체를 심화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Copyright ⓒ 2006-2025 Views&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