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가 9일 조합원 투표 결과 과반이 파업 종료에 찬성했다며 파업 철회를 공식선언했다.
파업 당시 내건 요구들을 하나도 관철하지 못하고 사실상 백기항복을 한 모양새여서, 강경투쟁을 주도해온 화물연대 지도부는 물론 상급단체인 민주노총을 향해서도 내부비판 등 거센 후폭풍이 몰아닥칠 전망이다.
화물연대에 따르면, 이날 총파업 철회 여부를 두고 진행한 전체 조합원 찬반 투표 결과, 파업 종료 표가 절반을 넘었다.
조합원 2만6천144명 중 총 투표자 수는 3천574명(13.67%)다. 이 중 2천211명(61.82%)이 파업 종료에 찬성했고 1천343명(37.55%)가 반대했다.
투표율이 13%대에 그친 데에서도 알 수 있듯, 대다수 조합원은 아예 투표를 보이콧했다. 자체적으로 업무복귀를 한 조합원이 많았고, 아직 복귀를 하지 않은 조합원도 지도부에 강한 불신을 나타낸 것으로 풀이된다. 화물연대 조합원들이 9일 파업 철회 찬반투표를 하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장장 16일간 진행된 화물연대 파업의 초라한 결말은 앞으로 윤석열 정권의 '노사 법치주의'를 크게 강화시키는 반면, 노동계에는 거센 역풍을 예고하고 있다.
화물연대는 앞서 지난달 24일 파업에 돌입하며 정부여당의 '안전운임제 3년 연장안'을 거부하면서 ▲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 ▲ 안전운임 차종·품목 5개 품목 추가 확대 등을 요구했다.
화물연대 지도부는 그러나 윤석열 정부의 업무개시명령 발동 등 강경대응으로 이탈하는 조합원들이 늘어나는 등 파업 동력이 크게 떨어지자 민주당이 서둘러 내놓은 '안전운임제 3년 연장안' 수용 여부를 논의하겠다는 명분아래 회의를 소집한 뒤 사실상 내부적으로는 파업 철회로 의견을 모았으면서도 조합원 투표로 결정짓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부산본부가 "지도부가 책임을 조합원들에게 떠넘기는 것은 비겁한 짓"이라며 투표없이 복귀 결정을 하는 등 현장의 강한 반발을 샀다. 앞서 지난 6일에는 전남본부가 화물연대 본부 지도부의 만류에도 독자적으로 복귀를 결정하는 등, 조합원들의 생계 고통 등을 도외시한 지도부의 묻지마 장기투쟁에 대한 현장의 반발이 컸다.
이 과정에 민주노총은 연계파업과 총파업 등으로 지원사격을 했으나, 서울지하철노조, 철도노조들이 자체적으로 속속 노사합의를 도출하고 민주노총의 주축인 금속노조의 대기업 노조들도 총파업에 대거 불참하면서 화물연대의 고립감만 심화시켰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Copyright ⓒ 2006-2025 Views&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