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탄핵시 즉각 퇴진' 요구 거부

"탄핵 각오하겠다", 새누리의 '4월 퇴진' 당론 수용

2016-12-06 16:24:19

박근혜 대통령은 6일 "탄핵을 각오하겠다"며 즉각 퇴진 요구를 거부했다.

박 대통령은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의 '탄핵 가결후 즉각 퇴진' 요구도 거부하며 탄핵시 헌법재판소의 심판을 받을 것임을 분명히 하기도 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2시30분부터 약 55분간 청와대에서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와 정진석 원내대표를 만난 자리에서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고 정진석 원내대표가 의원총회에서 전했다.

정 원내대표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회동에서 "탄핵이 가결되면 그 결과를 받아들여서 그 상황에서 제가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하겠다. 당에서 이런 입장을 생각해서 협조해 주시길 바란다"며 "탄핵 절차가 예정대로 진행이 되면 탄핵 소추 절차를 밟아서 가결이 되더라도 헌법재판소 과정을 보면서 국가와 국민을 위해 차분하고 담담하게 갈 각오가 되어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그러면서 "그동안 영수회담을 수용하고 야당과 대화를 하려고 했는데 근본적으로 대화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국회를 방문해서 국회의장과 만나서 국회 추천 총리를 제안했고 이에 대해서 야당이 거부를 했다. 그 이후에 더민주 추미애 대표와도 대화를 수용했는데 이것도 무산이 되었다"며 야당을 비판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이도저도 안돼서 국정을 풀어볼 마음이 간절해 그 이후 담화 형식으로 발표를 했었다"면서 "담화에서 국회에서 결정해주시는 대로 따르겠고 국회 결정대로 평화롭게 법과 절차에 따라서 물러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면서 3차례 담화를 국민이 받아들이지 않은 데 대해서도 우회적으로 불만을 나타냈다.

박 대통령은 그러면서 "그러던 중에 당에서 '4월 퇴진 6월 조기대선'을 하자는 당론을 정했다는 소식을 듣고 나라를 위해 정국을 안정적으로 풀어가야 한다는 생각에서 당론을 정한 것으로 생각을 했다"며 "또 그때부터 받아드려야겠다는 생각을 쭉 해왔다"며 '4월 퇴진' 당론 수용 입장을 밝혔다.

박 대통령은 또 "이번 사태와 관련해서 초래된 국정 혼란에 대해서 책임을 통감하고 있다"라며 "국민 여러분들께 의원님들께 두루두루 죄송스럽고 미안한 마음 뿐"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정 원내대표는 이같은 박 대통령 발언을 전한 뒤, "저는 원내대표로서 독립적인 헌법기관에 의원들의 개개인의 양심에 따라서 자유 의사에 따라서 표결에 임하겠다는 말씀을 드렸다"며 "대통령께서도 고개를 끄덕거리시면서 제 입장을 수용하는 모습을 보이셨다"며 '9일 자유투표' 방침을 거듭 분명히 했다.

박 대통령의 이같은 입장 표명은 탄핵을 놓고 국회에서 힘겨루기를 한 뒤, 탄핵안이 통과돼 직무정지가 되더라도 헌재 심판이 나올 때까지 퇴진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이어서 탄핵정국의 장기화를 예고하고 있다.

특히 박 대통령이 문재인 전 대표 등의 '탄핵시 즉각 퇴진' 요구를 거부한 데에는 여권이 대선을 치를 준비시간을 벌어주겠다는 계산도 깔린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Copyright ⓒ 2006-2025 Views&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