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4.13 총선에서 울산·경남의 '중공업 벨트'가 무너지면서 울산에서 절반인 3곳을 무소속에게, 경남에서는 4곳을 야당에게 넘겨주는 사상최악의 참패를 했다. 부산에서도 야당에게 5곳, 무소속에게 1곳을 내줘야 했다.
수도권의 무서운 심판풍, 호남의 국민의당 싹쓸이 등이 주목받고 있으나, 4.13총선에서 보다 주목해야 할 대목은 왜 PK에서 새누리당이 사상최악의 참패를 했는가이다. 단순히 '야성 회복' 등으로 접근할 일이 아니다. "문제는 경제"라는 더불어민주당의 총선 캐치프레이즈대로 가장 근본적 동인은 다름아닌 '경제'였다.
새누리당은 이번에 조선·기계·화학 분야 등의 주요 대기업이 몰려 있는 울산·경남의 '중공업 벨트'에서 사실상 전멸하다시피 했다. 울산 북구, 동구, 경남 창원, 거제, 김해·양산·울주군 등이 그러하다.
울산 동구의 경우 현대중공업 대주주인 정몽준 전 의원이 13대 국회 때부터 내리 5선을 하고 그의 최측근인 안효대 의원이 18~19대 총선에서 당선된 '정몽준의 철옹성'이다. 하지만 2014년과 2015년 내리 현대중공업이 사상 최악의 적자를 기록하면서 1천300여명의 직원을 정리해고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조선업이 한계산업으로 내리막길을 걸으면서 무더기 추가정리 해고를 우려하는 공포가 확산됐고, 진보정당 출신인 무소속 김종훈 후보가 58.9%의 압승을 거두었다.
울산 북구도 현대자동차의 실적 부진 등으로 인해 역시 진보정당 출신인 무소속 윤종오 후보가 61.5%의 압승을 거두었다.
<조선일보> 등 보수지가 통합진보당 출신이 다시 국회에 등원하려 한다며 색깔공세를 폈으나, 이 지역 유권자들에게는 시쳇말로 씨알도 먹히지 않았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막판에 "현대중공업은 구조조정을 하지 않겠다"고 공언했으나, 유권자들은 실현 불가능한 '선거 공약'에 냉소했다.
협력업체들이 밀집해 불황이 심각한 울산 울주군에서도 무소속 강길부 후보가 당선됐다. 이로써 울산 6개 선거구를 독식하고 있던 새누리당은 3석만에 건지지 못하는 최악의 참패를 맛봐야 했다.
경남의 중공업 벨트 역시 마찬가지였다.
경남 창원성산은 창원기계공단의 중심 지역으로 중장비 제조업체인 두산인프라코어가 지난해 직원 1천700여 명을 감원하는 등 불황의 직격탄을 맞은 지역으로, 정의당 노회찬 후보가 51.5%의 득표로 당선됐다.
대우조선-삼성중공업이 밀집한 거제에서는 새누리당 현역 의원인 김한표 후보가 압승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무명의 더불어민주당 변광용 후보를 상대로 730표(0.72%포인트) 차이로 간신히 당선됐다.
창원, 거제와 맞붙어 있어 이들 지역으로의 출퇴근 노동자들이 많이 살고 협력업체들도 많은 경남 김해·양산에서는 더민주가 압승을 거뒀다.
경남 김해갑에서는 민홍철 더민주 후보가 56.0%의 득표로 승리를 거뒀다.
경남 김해을에서는 '노무현의 마지막 비서관' 김경수 더민주 후보가 62.4%의 득표로 압승을 거뒀다.
경남 양산을에서도 서형수 더민주 후보가 승리했다.
일각에서는 부산에서 더민주 5곳, 무소속 1곳 당선 등 전체의 의석의 3분의 1을 새누리당에게 빼앗아올 수 있었던 근원도 경제에서 찾고 있다. "울산에서 월급을 며칠 늦게 주면 부산경제가 마비된다"는 얘기가 나돌듯, 울산 등 경남 중공업 벨트와 부산경제는 밀접한 상관관계를 맺고 있다. 경남 중공업 벨트의 불황이 부산 표심에도 큰 작용을 했을 것이라는 분석인 셈이다.
문제는 PK 지역이 겪고 있는 조선·기계·화학 등의 불황이 단기간에 해소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라는 데 있다. 중국이 지난 수년간 이 부문에 집중투자를 해 더이상 한국에서 중간재를 수입하지 않아도 되고 도리어 국제시장에서 한국의 강력한 라이벌로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근원적 처방을 하지 못할 경우 과거 영국의 조선도시, 철강도시 등이 폐허가 됐던 전례가 이들 지역에서도 되풀이될 수 있다는 극한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
정가에서는 4.13 총선에서 표출된 '경제 심판'이 내년 대선에서는 더 전국적 규모로 맹위를 떨칠 것이란 관측을 하고 있다. 중국은 13차5개년 계획에 따라 올해부터 우리경제의 마지막 경쟁력 우위 분야인 반도체 등 IT, BT 등에 "한국 타도"를 목표로 집중적 투자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럴수록 구조적 불황이 더욱 심화되면서 이에 비례해 국민적 고통도 커질 판이다. "바보야, 문제는 경제"가 내년 대선의 이슈가 될 수밖에 없는 이유다.
Copyright ⓒ 2006-2025 Views&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