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은 27일 자살한 임모 과장이 삭제한 해킹프로그램 로그파일에 대해 적극 해명에 나섰지만, 야당이 요구하는 자료 제출을 모두 거부하면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국정원은 이 과정에 해킹은 모두 임 과장이 주도했다며 사망해 상당부분을 알 수 없게 됐다고 고인에게 책임을 떠넘겼다.
국회 정보위 여야 간사의 브리핑을 종합하면 국정원은 이날 비공개로 진행된 정보위 업무보고에서 시종일관 "국내용 사찰은 전혀 없없다"고 강변했고, 이병호 국정원장은 자신의 직을 내걸기도 했다.
국정원의 강도높은 감찰이 임 과장을 죽음에 몰아넣은 게 아니냐는 야당 질책에 대해서도 국정원은 "감찰이 없었다"고 맞받았다.
국정원은 임 과장 사망을 둘러싼 의혹에 대해서도 "경찰이 (임 과장 사망) 현장에 못 오게 해서 못 갔고, 아무것도 모른다"고 주장했으나 새정치연합 의원들은 "국정원이 경찰 때문에 (현장에) 못 갔다는 건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거듭 의혹을 제기했다.
국정원이 이날 유일하게 해명의 근거로 삼은 것은 디지털 포렌식 과정을 거쳐 복구한 임 과장의 삭제 자료 51건(대북용 10건, 실패 10건, 국내실험용 31건)이었다. 야당이 해킹에 노출됐다며 고발한 SKT회선에 대해서도 국정원내 실험용 회선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이마저도 PPT 형식으로 공개하고 야당이 요구하는 로그파일 원본을 제출하지 않아 의혹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
국정원은 해킹 은폐 의혹에 대해서도 "해킹프로그램과 관련한 모든 일을 임 과장이 주도적으로 했고 모든 책임을 졌는데 사망해서 상당한 부분을 알 수 없게 됐다"는 변명만 여러차례 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은 또한 이탈리아 해킹팀과 이메일을 주고 받으며 각종 해킹을 주문한 '데블엔젤' 등도 임 과장이 사용한 이메일이고, 이것을 임 과장이 직을 떠나면서 후임자가 이어받아 써왔다고 해명하기도 했다.
국정원은 또 임 과장이 파일삭제 권한이 없다면서도 스스로 목숨을 끊은 전날인 지난 17일 오전 1시부터 3시 사이에 51개의 파일을 '딜리트(delete)' 기능을 이용해 삭제했다.
국정원 보고를 받은 여야의 반응은 극명하게 엇갈렸다.
새누리당은 국정원이 해킹에 사용된 SKT 아이피 5개가 국정원 내부실험용 회선임을 증명한 것을 대표적인 사례로 제시하며 "지금까지 제기된 의혹에 대해선 모두 해명했다"고 평가한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실제로 검증할 수 있는 자료 제출이 없는 이상 국정원의 해명을 곧이 곧대로 수용할 수 없다고 맞섰다.
새누리당 정보위 간사인 이철우 의원은 "의혹이 제기된 IP 3개에 대해 오늘 실험용이라는 것을 확실히 보여줬다"며 "국정원이 갖고 있는 휴대폰이엇고 2개 IP도 국정원 소유인 것으로 밝혀졌다. 지금까지 의혹은 100% 소멸됐다"고 주장했다.
반면에 새정치민주연합 정보위 간사인 신경민 의원은 "아직 (해킹) IP가 계속 나오고 있는데 100% 해소됐다고 볼 수 없다"며 "지금 고발이 된 SKT 3개 IP만 소명이 있었을 뿐, 휴대폰 말고도 인터넷과 컴퓨터도 있어서 여러 문제제기를 봐야한다"고 반박했다.
신 의원은 이어 "국정원은 자료 요구에 100% 가까이 자료 제공을 하지 않았다"며 "원장의 직을 건 단호한 결의는 믿고 싶지만 그러러면 믿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오늘 국정원으로부터 명쾌한 얘기를 듣지 못했다"고 단언했다.
여야는 이처럼 계속해서 자료 제출 공방이 이어짐에 따라 2차 상임위를 개최하고 양측이 각각 추천한 외부전문가들을 초청해 국정원이 아닌 제3의 장소에서 간담회 형식으로 국정원의 해명을 검증하는 방식을 검토하기로 했다. 국정원은 외무전문가들은 절대로 국정원 안에 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그러나 새정치연합은 2차 상임위에 앞서 안철수 위원장이 요구한 30개 자료 제출이 반드시 이뤄져야한다는 입장인 반면 국정원은 여전히 자료를 제출할 수 없다고 맞서고 있어 양측간 힘겨루기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2006-2025 Views&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