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집값 3.1% 폭등, 16년7개월만에 최고치
서울 4.8% 상승 속 과천 15.0%, 구리 14.8%나 폭등
지난 11월 전국의 집값이 3.1% 상승, 1990년 4월 이후 16년7개월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아파트 분양가 상승, 뉴타운.재개발.재건축으로 기대심리 확산”
4일 국민은행이 발표한 11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전국주택매매가격은 전월대비 3.1% 올라 1990년 4월(3.2%) 이후 16년7개월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4.8%로 1990년 2월(5.9%)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내에서 강남(11개구)이 5.4%, 강북(14개구)이 4.1% 각각 올라 강남의 상승률이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다.
강남지역 중에서는 송파구(7.7%), 강동구(7.6%)가 높았으며 강북지역에서는 노원구 (6.7%), 은평구(5.3%)가 높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과천-구리는 한달새 15%나 폭등
경기도의 평균 상승률은 6.9%에 달했으며 특히 최근 부동산 붐이 불었던 과천과 구리는 각각 15.0%, 14.8%씩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가 3.8%, 연립주택이 3.3%, 단독주택이 1.1% 각각 올랐으며 서울지역에서는 아파트 6.2%, 연립주택 3.3%, 단독주택 2.7%가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규모별로는 대형 2.4%, 중형 3.2%, 소형 2.4%였다. 아파트의 경우 규모별로는 대형 3.6%, 중형 3.9%, 소형 4.0%였다.
지난달 전세가격은 전월보다 1.0% 올라 전월과 같았으며 서울은 1.6%, 경기 1.8%, 인천 1.1% 등으로 수도권이 높았다.
지난달 임대차계약 구성비를 보면 보증부월세 비중(38.7%)이 전달보다 0.3% 포인트 증가한 반면 전세(58.5%)와 순수월세(2.8%)는 각각 0.1%포인트, 0.2%포인트 떨어져, 보증부월세가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은행은 “아파트 분양가 상승과 뉴타운.재개발.재건축 등의 호재로 매매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심리가 확산되면서 상대적으로 상승률이 낮았던 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올랐다”며 “매매시장은 매수세 우위가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가격 상승률이 높았으나 전세시장은 전월에 비해 수급불균형 현상이 다소 완화된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아파트 분양가 상승, 뉴타운.재개발.재건축으로 기대심리 확산”
4일 국민은행이 발표한 11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전국주택매매가격은 전월대비 3.1% 올라 1990년 4월(3.2%) 이후 16년7개월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4.8%로 1990년 2월(5.9%)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내에서 강남(11개구)이 5.4%, 강북(14개구)이 4.1% 각각 올라 강남의 상승률이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다.
강남지역 중에서는 송파구(7.7%), 강동구(7.6%)가 높았으며 강북지역에서는 노원구 (6.7%), 은평구(5.3%)가 높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과천-구리는 한달새 15%나 폭등
경기도의 평균 상승률은 6.9%에 달했으며 특히 최근 부동산 붐이 불었던 과천과 구리는 각각 15.0%, 14.8%씩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가 3.8%, 연립주택이 3.3%, 단독주택이 1.1% 각각 올랐으며 서울지역에서는 아파트 6.2%, 연립주택 3.3%, 단독주택 2.7%가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규모별로는 대형 2.4%, 중형 3.2%, 소형 2.4%였다. 아파트의 경우 규모별로는 대형 3.6%, 중형 3.9%, 소형 4.0%였다.
지난달 전세가격은 전월보다 1.0% 올라 전월과 같았으며 서울은 1.6%, 경기 1.8%, 인천 1.1% 등으로 수도권이 높았다.
지난달 임대차계약 구성비를 보면 보증부월세 비중(38.7%)이 전달보다 0.3% 포인트 증가한 반면 전세(58.5%)와 순수월세(2.8%)는 각각 0.1%포인트, 0.2%포인트 떨어져, 보증부월세가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은행은 “아파트 분양가 상승과 뉴타운.재개발.재건축 등의 호재로 매매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심리가 확산되면서 상대적으로 상승률이 낮았던 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올랐다”며 “매매시장은 매수세 우위가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가격 상승률이 높았으나 전세시장은 전월에 비해 수급불균형 현상이 다소 완화된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