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모기지 상환 거부로 중국 부동산업체 위기 심화"
중국 주택판매 7월 들어 다시 급감. 중앙-지방정부 서로 책임 떠넘기기
중국부동산정보그룹(CRIC)에 따르면 상하이 등 도시 봉쇄 해제 이후 경제활동이 증가하면서 지난 5∼6월 상승세를 보이던 주택 판매가 7월에 다시 내렸다.
CRIC는 중국 상위 100대 부동산 개발업체의 7월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9.7% 줄어든 5천231억4천만위안(약 101조2천50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달인 6월보다 28.6% 감소한 것이다.
이어 모기지 상환 거부 사태가 벌어진 중국 내 30개 도시의 경우 7월 4∼10일에 전주 대비 12%, 7월 11∼17일에 전주 대비 41% 감소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상환 거부 사태는 지난 6월 말 장시성 징더전의 헝다(恒大·에버그란데) 주택 건설 현장에서 시작됐다고 WSJ은 전했다.
오픈소스 커뮤니티 깃허브(GitHub)에 오른 모기지 상환 거부자들의 진술을 보면 지난달 29일 현재 중국 내 320개의 사업 현장에서 수백 명이 소송을 진행 중이다.
중국 부동산 위기는 중국 당국의 투기 단속으로 시작됐다는 시각이 많다.
수년째 지속해온 단속으로 작년부터 부동산 시장이 심각하게 얼어붙고 헝다 등 대형 부동산 개발 업체들이 유동성 위기에 빠졌다.
아울러 중국 곳곳에서 부동산 개발사업이 좌초되고 공사가 중단돼 수분양자들의 모기지 상환 거부 운동으로 이어졌다.
주택담보대출금이 많았던 허난성 정저우시 등에서 뱅크런(현금 대량 인출 사태)과 예금주들의 시위 사태가 벌어졌다.
WSJ은 작년부터 현실화했던 부동산 위기 속에서 중국 부동산 업체들은 미분양 주택을 수분양자들에게 판매하는 등 부채로 가득 찬 건물 붐을 유지해온 가운데 이를 주택담보대출로 비싸게 산 수분양자들의 저항을 불렀다고 진단했다.
수분양자들은 공사가 아예 중단될 경우 주택담보대출로 낸 분양대금을 떼일 수도 있다는 불안감에 휩싸여 있다고 덧붙였다.
이 때문에 중국 내에선 미분양 주택 구매와 관련해서도 재정 상태가 더 나은 국유 개발기업을 선호한다.
이런 가운데 피해자들은 중국의 최고 의사결정 기관인 공산당 정치국이 직접 나서주기를 희망하고 있으나, 정치국은 지방 정부에 책임이 있다고 떠넘기고 있다.
수십 곳의 지방정부는 계약금과 이자율을 낮추고 현금 보조금을 지급하는 한편 문제가 있는 주택 건설 사업 현장을 아예 인수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으나, 이를 감당할 재정 여력이 충분치 않다.
중국 부동산 시장 추적·분석 기관인 퉁처 리서치 연구소의 쑹훙웨이는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유동성 위기가 해소되지 않으면 부동산 시장은 안정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훙다는 지난달 29일 수십억 달러의 부채 구조조정 계획의 윤곽을 제시했으며, 올해 상반기 아파트 판매액이 전년 동기 대비 97% 감소했다고 공개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