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참 “'공무원 소각' 추정 사진과 영상 있다”
"감청에 '시신'이란 단어 없어" “월북 의미 단어는 있었다"
원인철 합참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합참에 대한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한기호 국민의힘 의원이 "시신 소각 영상이 있는 걸로 아는데 영상을 봤냐"고 묻자 “사진으로 조금 찍힌 것만 봤다”고 답했다.
이에 한 의원이 "원거리에서 찍었지만 영상을 가지고 있다고 안다"고 재차 묻자, 원 의장은 “못 봤다. 시신소각 영상이 아니고 불빛을 관측한 영상인데 영상은 못 봤고 사진을 봤다"고 답했다.
이영철 합참 정보본부장도 같은 질문에 "의장이 답변한 수준으로 저도 확인했다"고 답했다.
그러자 한 의원은 "봤냐고 물은 거다. 봤겠죠. 영상을 안 봤으면 정보본부장이 아니죠"라고 압박하자, 이 본부장은 “네, 확인했다"고 답했다.
이에 한 의원은 “(소각 영상이) 약 40분이 좀 넘든 상관 없는데 상당히 긴 시간 탔다. 그렇지 않냐”고 물었고, 이 본부장은 답을 하지 않았다. 이 본부장은 "대답해보라"는 한 의원의 거듭된 추궁에도 "대략적 단정적 시간은 아니었다”며 즉답을 피했다.
한편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이 "우리가 음성을 확인했는데 시신, 사체라는 단어가 나왔냐"고 묻자, 원 의장은 “그런 내용의 단어는 없었다"고 답했다. 이에 하 의원이 "뭘 태우긴 태웠는데 시신, 사체라는 단어는 없었다는 거냐”고 묻자, 원 의장은 “예”라며 "여러가지 첩보들과 정황상 이해할 수 있는데 구체적인 단어는 없었다”고 답했다.
하 의원이 "그러면 월북을 의미하는 단어가 있었냐”고 묻자, 원 의장은 “네”라고 답했다. 하 의원이 이에 "북한군끼리 한 이야기 아닌가. 희생자의 육성이 있냐"고 묻자, 원 의장은 "상식적으로 우리가 희생자의 육성을 들을 순 없다"고 답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