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대의원대회, 결국 노사정 합의안 부결
김명환 위원장 불신임. 민주노총, 장외투쟁 등 강경투쟁 예고
민주노총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 진행한 찬반투표에서 재적 대의원 1천479명 가운데 1천311명이 투표해 과반수인 805명이 반대표를 던졌다. 찬성표는 499명에 그쳤고, 무효표는 7명이었다.
노사정 합의안은 정세균 국무총리를 중심으로 지난 5월 출범한 노사정 대표자회의에서 40여일 간의 논의를 거쳐 마련한 것으로, 정부는 고용유지 지원을 늘리고, 사측은 고용이 유지되도록 최대한 노력하며, 노동계는 근로시간 단축, 휴업 등 고용유지를 위해 사측이 필요한 조치를 취할 때 적극협력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하지만 민주노총 지도부 다수는 사측에게만 일방적으로 유리한 내용이라며 반발했다.
이같은 합의과정에 노사정 대화를 가장 먼저 제안하는 등 적극 참여해온 김영환 위원장은 지난 1일 협약식에 참여해 합의안에 서명하려 했으나, 중앙집행위원회에서 일부 지역본부 대표 등의 반대와 실력저지에 막혀 협약식에 참석할 수 없었다.
이에 김 위원장은 직권으로 임시 대의원대회를 소집했으나, 대의원대회에서 합의안이 부결되면서 사실상 김 위원장은 퇴진 위기에 몰렸다. 김 위원장은 앞서 지난 10일 노사정 합의안이 대의원대회에서 부결될 경우 김경자 수석부위원장, 백석근 사무총장과 함께 즉각 사퇴할 것이라고 약속한 바 있다.
김 위원장은 24일 오후 민주노총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자신의 거취를 포함한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김 위원장 등 지도부가 사퇴하면 민주노총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들어가고 당분한 장외 강경투쟁을 펼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8일 국제노동기구(ILO)의 '코로나19와 일의 세계 글로벌 화상회담'에서 "한국의 노동자, 기업인, 정부는 ‘코로나 극복을 위한 노사정 선언문’에 합의했다. 인원 조정 대신 노동시간 단축과 휴직 등을 최대한 활용해 고용 유지에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며 민주노총이 결국은 동참할 것으로 판단해 노사정 선언문에 합의했다고 국제사회에 밝힌 바 있어, 이번 민주노총의 합의안 부결로 문 대통령은 크게 곤혹스러워진 모양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