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인의 '처음처럼'이란 글귀를 소주명에 사용하는 것을 허락받았던 손혜원 더불어민주당 홍보위원장은 15일 페이스북에서 "신영복 선생님께서 위독하시다는 말씀을 듣고 내일 병문안 가기로 약속했는데…방금 운명하셨다는 연락을 받았다"며 "찾아뵙지도 못하고 있다가 떠나신 후에 후회한다"고 안타까워했다.
손 위원장은 "선생님 가르침이 더욱 필요한데 이렇게 황망하게 떠나시니 가슴이 미어진다"며 "'마지막 강의' 공연에서 뵈었을 때 제가 정치권에 들어왔다고 반가워 하셨는데…열심히 하라고 그러셨는데…"라며 글을 잇지 못했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페이스북을 통해 "신영복 선생님은 대선 패배에 누구보다 아파하시고, 다 함께 정권교체 꼭 해내자고 격려해주셨던 분"이라며 "선생님이 제게 써주신 '처음처럼'과 노무현 대통령에게 써주신 '우공이산'은 저의 정신이 되고 마음가짐이 됐다. 선생님께 소주 한잔 올린다"고 추모했다.
표창원 전 경찰대 교수도 트위터를 통해 "시대의 아픔을 온 몸으로 겪으신 참 지성인, 신영복 선생님의 명복을 빕니다. 저편 세상에서는 부디 편히 쉬소서"라며 고인을 기렸다.
박원순 서울시장도 16일 트위터를 통해 "우리 시대의 스승 신영복 선생님이 돌아가셨다"며 "써 주신 '서울'이라는 글씨가 마치 북한산과 한강같이 준엄하고 유려하다. 참 슬프다. 영면하소서"라고 애도했다.
심상정 정의당 대표는 "끝 모를 서러움이 차오르는 밤"이라며 "사람이 '끝'이라고 말씀하셨다. 뵐 때마다, 늘 그 깊고 따뜻한 눈으로 부족한 저 자신을 비추어 주곤 했다"며 회상했다. 그는 "혼돈과 좌절의 시대에 선생님의 고요하고 엄숙한 가르침이 더욱 절실해질 것"이라며 "신영복 선생님, 편히 가소서"라고 영면을 기원했다.
노회찬 전 정의당 대표는 "선생님의 뜻과 정신은 낡은 역사의 한 페이지가 아니라 우리가 가야 할 진보의 미래"라고 강조했다.
안희정 충남도지사는 "신영복 선생님으로부터 "이 땅의 역사를, 사람 사는 세상의 이치를, 땅 위의 사람들"에 대해 깊이 깨우치게 됐다"며 "우리 모두 언젠가는 헤어집니다만 막상 이별 앞에 서고 보니 마음이 너무 아프다. 존경하고 사랑한다"고 애도했다.
병세가 악화된 이유가 있었군 신선생 기분 정말 더러웠겠다 그렇게 노통을 똥칠하고 육십년 민주야당을 그 지경으로 말아먹고 있는 망할놈 당의 당명으로 자신의 더불어숲이 난데없이 도용되어 시끄럽게 사용되고 있으니 얼마나 황당하고 애통했을까 역사의 죄인 문죄인 속마음으로는 찢어죽이고 싶었겠군
통혁당 사건은 실제 북한 지령, 자금을 받고 활동했다. 김종태 이문규 등이 잡히자 북한은 그들 구출 목적으로 공작선까지 보냇다. 신영복 선생,,,그는 민주화 투사가 아니다. 민주화 운동을 한적도 없다. 민주화 운운으로 박정희 독재에 목숨걸고 투쟁하신 분을 욕되게 하지마라 그는 전향서를 쓰고 석방되었다. 조작된 인혁당 사건과는 다르다.
다까끼유신독재시절 신영복 성공회대학교 석좌교수가 15일 오후 향년 75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신 교수는 지난 2014년 희귀 피부암 진단을 받고 투병 중이었으며, 장레는 성공회대 학교장으로 치러진다. 신영복 교수는 지난 1968년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며 20년 복역 뒤 1988년 광복절 특별 가석방으로 출소했다
헌대... 야당이라는 국민의당 인사는 눈 씻고 봐도 없넹... 옛날 김종필의 자민련을 두고 요당이라고 사람들이 놀렸건만. 이승만이 국부인 안철수 신당은 거기에도 못 미치는구나.. 운동권이라고 싸잡아 더민주를 욕했지만, 선배들의 이런 희생이 없었으면, 이만한 민주주의도 꽃 못 피웠다. 앞으로 더민주 운동권 어쩌구 욕만 해봐라... 때려준다
박정희 시대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20년 넘는 옥고 치르고 출감... 많은 청년이 지독한 고문으로 불구되고 사형도 됐으나. 우여곡절 끝에 무기징역이 된 거라던데... 야권 인사들만 애도하네... 분단과 독재의 시대를 살아낸 선배들이 있어 이나마 민주화 됐건만... 1번 찍는 무지랭이들 땜에 이게 뭐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