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71% "민간아파트 분양원가 공개해야"
주택담보대출 규제는 찬반 팽팽
민간아파트 분양원가 공개를 제외한 정부의 최종 부동산대책이 2월 중 발표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국민 10명 중 7명은 ‘민간 아파트 분양원가 공개’를 지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5일 CBS 라디오 '시사쟈키 오늘과 내일'이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71.1%는 부동산 가격 안정을 위해서는 민간 아파트 분양원가의 투명한 공개가 선행되야 한다는 여당의 의견에 찬성입장을 보였다. 반면 ‘분양원가 공개 반대’를 주장하는 정부의 의견을 지지한 응답자는 14.8%에 불과했다.
지지정당별로는 열린우리당(78.4%), 민주노동당(80.9%) 등이 분양 원가 공개 찬성 의견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 3일 전국 19세 이상 남녀 9백2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 3.26%였다.
주택담보대출 규제, 찬성 40.7%-반대 36.3%
한편 국민은행이 연초부터 주택담보대출 규제강화의 일환으로 총부채상환비율(DTI) 40% 규제 대상을 전 지역으로 확대한 것과 관련한 설문조사에서는 찬반의견이 팽팽한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결과, 주택담보대출 규제강화는 ‘잘못된 조치‘라는 의견이 40.7%, 부동산 가격 안정을 위해 ’잘한 조치‘라는 의견은 36.3%로, 찬반 의견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인천/경기(51.9%>30.4%), 서울(44.9%>36.1%)등 부동산값 상승에 따라 대출수요가 급증한 지역일수록 규제 강화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응답한 반면, 전남/광주(36.9%>23.4%), 부산/경남(40.2%>33.9%) 지역은 “규제 강화는 잘한 조치”라는 의견이 많았다.
연령별로는 주택 구입 수요가 상대적으로 많은 2~30대의 경우 ‘잘못된 조치’라는 의견이 많은 반면, 4~50대 이상은 ‘잘한 조치’라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조사는 지난 4일 전국 19세 이상 남녀 6백40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 3.87%였다.
5일 CBS 라디오 '시사쟈키 오늘과 내일'이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71.1%는 부동산 가격 안정을 위해서는 민간 아파트 분양원가의 투명한 공개가 선행되야 한다는 여당의 의견에 찬성입장을 보였다. 반면 ‘분양원가 공개 반대’를 주장하는 정부의 의견을 지지한 응답자는 14.8%에 불과했다.
지지정당별로는 열린우리당(78.4%), 민주노동당(80.9%) 등이 분양 원가 공개 찬성 의견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 3일 전국 19세 이상 남녀 9백2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 3.26%였다.
주택담보대출 규제, 찬성 40.7%-반대 36.3%
한편 국민은행이 연초부터 주택담보대출 규제강화의 일환으로 총부채상환비율(DTI) 40% 규제 대상을 전 지역으로 확대한 것과 관련한 설문조사에서는 찬반의견이 팽팽한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결과, 주택담보대출 규제강화는 ‘잘못된 조치‘라는 의견이 40.7%, 부동산 가격 안정을 위해 ’잘한 조치‘라는 의견은 36.3%로, 찬반 의견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인천/경기(51.9%>30.4%), 서울(44.9%>36.1%)등 부동산값 상승에 따라 대출수요가 급증한 지역일수록 규제 강화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응답한 반면, 전남/광주(36.9%>23.4%), 부산/경남(40.2%>33.9%) 지역은 “규제 강화는 잘한 조치”라는 의견이 많았다.
연령별로는 주택 구입 수요가 상대적으로 많은 2~30대의 경우 ‘잘못된 조치’라는 의견이 많은 반면, 4~50대 이상은 ‘잘한 조치’라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조사는 지난 4일 전국 19세 이상 남녀 6백40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 3.87%였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