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4대강사업의 일환으로 1천700억원을 들여 없앤 본포 모래섬이 이번 장마때 모래 재퇴적으로 다시 생겨난 것으로 확인됐다.
장마뒤에 4대강 공사현장을 돌아본 4대강시민현장조사단에 따르면, 정부가 1천700억원 들여서 옮겼다는 경남 창녕의 낙동강 본포 모래섬이 원래 있던 자리에는 다시 거대한 모래층이 재퇴적돼 모래섬이 생겨나 있었다.
정부는 앞서 세계적 희귀종인 재두루미의 중간기착지인 본포 모래섬을 환경단체 등의 강력 반대에도 불구하고 100% 준설 완료했다고 밝힌 바 있다.
말 그대로 1천700억원만 공중에 날린 '헛준설'이 되고 만 셈.
본포 모래섬이 다시 생겨났다. ⓒ환경운동연합 이처럼 엄청난 양의 모래가 준설한 곳에 다시 퇴적되자, 정부와 시공사는 일부 구간의 준설을 포기한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조사단에 따르면, 낙동강 33공구 내성천 현장사무실을 찾은 조사단의 박창근 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를 만난 자리에서 33공구 시공사인 현대산업개발은 "상주댐 앞 본류 제방의 붕괴를 막기 위해 국토부 및 4대강추진본부와 협의해 콘크리트 작업 및 병성천 준설은 포기했다"라고 밝혔다.
정부와 시공사가 준설을 포기한 병성천과 상주댐 인근. 엄청난 모래가 재퇴적돼 있다. ⓒ환경운동연합 시민조사단은 이와 관련, "낙동강에는 모래가 흐른다. 4대강사업의 핵심인 댐 건설과 준설이 아무리 심해도, 낙동강에는 모래가 흐르고 있다"며 "4대강사업의 53%가 집중된 낙동강에는 다시 모래가 돌아오고, 정부에서 준설을 포기하거나, 역행침식으로 모래가 다시 흐르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고 전했다.
조사단은 또한 "4대강사업의 재앙은 이제 시작이지만, 댐에 물을 가둘때부터 재앙의 가속화는 더욱 커질 것"이라며 "지하수 수위는 변할 것이고, 댐 구간외에는 가뭄의 영향을 더욱 탈 것이다. 16개의 댐에 물을 가둠으로써 홍수의 위험은 상존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낙동강은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수자원공사는 27일 해명자료를 통해 "경남 창녕 본포교 상류 신천과 합류되는 모래섬은 소생물 서식처로 보존되는 구간으로서 준설계획구간이 아니므로 재퇴적되었다는 보도는 사실과 다르다"고 부인했다.
낙동강 숭선대교 교량. 노랗게 흙으로 된 표시가 있는 부분이 원래 흙으로 덮혀있던 부분이다. 역행침식으로 쓸려나간 모래의 높이와 양이 얼마나 엄청난가를 감지할 수 있다. ⓒ환경운동연합
근데, 모래섬이 도로 다시 생기는게 원하는거야. 4대강 뭐 어쩌고는 그냥 붙인 이름이고, 삽질은 그냥 시늉이거든. 아무리 전과14범 딱지가 붙긴 했어도, 시늉은 해야지 그냥 세금을 퍼갈 순 없는거잖아!! 아주 많이 퍼갈라고 거창한 이름을 붙였지. 글고 강만수하고 윤증현이 저번에 실패한 의료민영화는 이번에 재완이한테 다시 하라고 시켰어.
ㅉㅉㅉ한심한 것들 결국 물길에 따라 퇴적은 영원히 막을 수 없는 자연의 섭리다 낙동강의 모든 구간과 지천을 콘크리트로 도배 하지 않는 한 니들이 아무리 퍼내도 결국 모래는 다시 쌓일 것이다 그것도 모른믄 놈들이 무슨 하천 전무가며 토목 공학도란 말인가 위에서 부터 아래까지 헛 삽질 열라게 한꼴이다 그것도 피 같은 국민 세금으로 많이 배웠네 ㅉㅉㅉ
그돈 1700억부터 청기와 쥐새 끼에게 철저히 받아내야한다. 아마 그돈의 ?십프로는 청기와 쥐새 끼를 비롯해 그 떨거쥐들 뱃 떼 지 속으로 들어갔을게다. 확실한건 보수 개나라당 개독출신 새 끼들은 지돈아니면 돈이라 생각하질 않지 국민혈세 ?조? 절대 돈이라 생각하지 않아. 그러니 저따우로 강바닥에 쓰고 자빠졌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