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개인저축률, 세계 최저로 곤두박질
개인은 빈털털이, 대기업은 돈 넘쳐 감당 못해
29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2008년 기준으로 개인 순저축률은 2.6%로 독일(11.2%), 프랑스(11.6%)에 비해 한참 낮고 일본(3.8%)이나 미국(2.7%)에도 못 미쳤다.
개인순저축률이란 가처분소득에 대한 순저축의 비율로 개인 부분의 저축성향을 반영하는 지표다.
경기가 어려우면 낮아지고 호황이면 높아지는데, 1998년 23%를 기록하고 나서 2000년 들어 처음으로 한자릿수(8.6%)가 된 뒤 경기침체가 이어지면서 2002년에는 0.4%까지 급락했었다.
보통 개인순저축률의 하락은 국가 총저축률 하락을 견인하면서 투자와 경상수지에 악영향을 줄 소지가 있고, 고령화 추세 속에서 개인의 노후 소득이 줄어드는 부작용도 낳을 수 있는 것으로 지적된다.
개인순저축률이 선진국보다 낮은 수준인데 비해 총저축률은 2008년 기준 30.5%로 미국(12.7%), 일본(26.2%), 독일(25.7%), 프랑스(19.1%)에 비해 높았다.
재정부 관계자는 "저축률에서 투자율을 뺀 '저축·투자갭'이 플러스를 유지하고 있고, 총저축률이 선진국보다 높은 점을 감안하면 현재의 저축률 수준이 경제성장을 제약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