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님도시' 포항도 발끈, "어찌 이럴 수가"
인천은 '주호영 발언'에 발칵, 호남도 "언제는 키우겠다더니"
'형님도시' 포항도 "이럴 수가"
정부 발표후 포항이 발칵 뒤집혔다. 포항을 가장 자극한 것은 정부가 독일의 막스플랑크연구소를 세종시로 유치하겠다고 밝힌 대목이다. 독일 드레스덴을 세종시 모델로 잡고 있는 정운찬 총리가 드레스덴에 입주해 있는 막스플랑크연구소를 세종시로 유치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
그러나 포항시는 "우리가 유치하기로 한 막스플랑크연구소를 세종시가 가로채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발끈했다. 포항의 포스텍(옛 포항공대)이 이미 지난 1월 독일 막스플랑크 재단과 연구소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맺은 상태이기 때문이다.
포항의 불만은 이뿐이 아니다.
<영남일보>는 24일 "세종시에 대한 당근 정책이 쏟아지면서 대구·경북의 핵심 인프라까지 손댈지 모른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며 "포스텍내에 있는 아태이론물리센터를 세종시로 옮긴다는 것과 중이온가속기 유치가 포항의 제4세대 방사광가속기 유치와 중첩되는 사안이 대표적"이라고 보도했다.
포스텍 관계자는 신문과 인터뷰에서 "국제연구기관인 물리센터의 이전은 이사회의 결정이 있어야 하는데 어떻게 이런 안이 나왔는지 모르겠다"며 "아이디어 차원으로 보인다. 쉽게 옮기지는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성자 가속기도 두 개의 유사한 국책사업이 동시에 진행되면 사업 시기 등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강한 불만을 나타냈다.
이 지역 6선의원인 이상득 의원의 향후 대응이 주목되는 상황이다.
인천도 '주호영 발언'에 발끈
인천도 뒤늦게 발칵 뒤집혔다.
정부가 내세운 '교육과학중심 경제도시'가 ‘교육·과학·기업중심도시’라는 개념으로 송도·청라지구를 꾸며온 인천시 방침과 거의 붕어빵이기 때문이다. 이에 인천시는 “세종시 때문에 외국기업 유치가 어려워질 것”이라고 강력 반발하고 있다.
특히 인천을 비롯된 수도권을 자극한 것은 주호영 특임장관이 영호남 등의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 "정부는 수도권에 있는 산업시설이 세종시로 이전하는 것은 좋지만 지방에 있는 시설이 이전하는 것은 반대하고 있다"고 말한 대목이다.
<경인일보>는 24일 <'세종시'에 무너지는 경기도>란 자극적 제목의 4회 시리즈를 시작하면서 주호영 장관 발언을 거론한 뒤 "정부의 파격적인 지원이 '탈 경기도'를 부추기고 있다"며 "비수도권의 반발을 무마하고 세종시에 각종 공공기관과 기업 등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도내 기업들에 대한 '노골적 빼가기'가 불가피한 실정"이라며 정부를 맹비난했다.
신문은 이어 "실제 정부는 IT서비스나 소프트웨어 분야, 디자인 분야는 수도권 기업의 이전을 유도, 입지·투자·고용·교육훈련 보조금을 지급하고, 국세는 7년간 100%, 이후 3년간 50%를 감면키로 하는 등 '수도권 기업 끌어안기'에 나서고 있다"며 "'블랙홀'인 세종시로 경기도내 공공기관에 이어 신재생에너지 등 중견기업 빼가기가 노골화되면서 지역경제가 수렁에 빠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호남 "언제는 선도산업으로 키우겠다더니"
호남도 신재생 에너지와 탄소저감, LED 응용 분야의 글로벌 녹색기술 기업과 녹색 R&D센터를 유치해 세종시를 세계적 수준의 '녹색기업도시'로 키우겠다는 정부 발표에 강력반발하고 나섰다.
이는 이명박 정부가 내놓은 '5+2광역경제권 개발' 계획에, 호남경제권의 선도산업 프로젝트로 신재생에너지와 LED 응용분야가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무등일보>는 24일 "신재생에너지는 호남광역경제권의 핵심 선도산업이며, LED분야는 또다른 선도산업인 '친환경 광기술기반융합부품·소재사업'의 핵심사업으로 추진된다"며 "정부가 신재생에너지와 LED분야를 세종시로 집중할 경우 광주·전남지역 광역경제권사업에 막대한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반발했다.
신문은 이어 "나아가 혁신도시와 기업도시 등의 조성을 추진 중인 전남도 '지역 역차별'에 노심초사하고 있다"며 "정부가 세종시에 조성되는 산업단지를 국가산업단지로 지정, 도로와 용수 등 기반시설 개발에 국고를 지원하고 입주기업에는 취·등록세 면제와 재산세 5년간 50% 감면 혜택 등을 부여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즉, 세종시에 인센티브가 집중되면 기업유치가 생명인 기업도시나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가 차질을 빚을 우려가 너무도 뻔하기 때문이다. 특히 무안 기업도시의 경우 사업 자체가 위태로워질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라고 보도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