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부-<이코노미스트>, 2차 격돌
<이코노미스트>, 한국정부의 항의 일축하며 공개반박
재정부는 지난달 26일 <이코노미스트>가 '한국을 아시아 신흥시장 국가 가운데 3번째로 위험한 곳'으로 보도한 데 대해 박철규 재정부 대변인이 지난 5일자 <이코노미스트>에 독자편지 형식을 빌어 반론을 게재했다.
박 대변인은 글에서 "외환보유고 대비 한국의 단기외채는 75%이며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고, 은행의 평균 예대율도 지난해 말 기준 118%로 지난해 6월 이후로 줄어들고 있다"며 "따라서 해당 기사의 한국경제에 대한 전반적인 위험평가는 부정확한 정보와 추정에 근거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코노미스트>는 그러나 박 대변인 반론 바로 다음에 '편집자주'를 통해 "외환보유고 대비 단기외채 비율로 우리가 제시한 수치는 향후 12개월 내 만기도래하는 모든 부채를 포함한 것이자 IMF도 선호하는 방식으로, 지난해 말 기준으로 분명히 96%였다"며 "(한국정부가 말하는) 75%는 1년내 만기도래하는 장기부채를 빼고 처음부터 만기가 1년내인 단기부채만 가리키는 것"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예대율에 대해서도 "우리의 예대율은 우리가 모든 나라들을 분석할 때 동일하게 사용하는 상업은행, 특수은행 등을 모두 포함한 것은 한국은행은 지난해말 이를 136%로 밝혔다"고 반박했다.
<이코노미스트> 편집자주는 한마디로 한국 정부의 항의는 일고의 가치도 없다는 공개 반박인 셈이다.
이에 대해 재정부와 금융위가 함께 내주 영국의 <이코노미스트> 본사를 방문해 재차 항의한다는 방침이나, <이코노미스트>가 반박하며 인용한 1년내 만기도래 외채 비율, 즉 유동외채비율이나 예대율 등은 한국은행이 앞서 발표한 자료와 동일한 수치여서 과연 <이코노미스트>가 항의를 받아들일지는 의문이다.
<이코노미스트>는 인터넷판외에 매주 150만부를 발행하는 세계최대 경제전문지로,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절대적이다.
다음은 <이코노미스트>에 실린 편지 항의문 및 편집자주 전문.
South Korea’s debt
SIR – Your article about “emerging-market contagion” ranked countries according to their vulnerability to the global credit-crunch (Economics focus, February 28th). But you did not reflect the actual situation of the Korean economy. The article portrayed South Korea as the joint third-riskiest among the countries surveyed, citing “large short-term foreign debts and highly leveraged banks”. This is simply not the case.
Let me provide you with accurate figures. South Korea’s short-term external debt is 75% of its foreign-exchange reserves and it continues to decline. The South Korean banks’ average loan-to-deposit ratio stood at 118% as of the end of 2008 and has been on the decrease since last June.
Thus, the overall risk assessment for the Korean economy, as described in your article, relies upon incorrect information and estimates.
Cheol-kyu Park
Spokesperson
Korean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Seoul
Editor’s note: Our figure for short-term debt as a percentage of foreign-exchange reserves included all debt due within the next 12 months, the definition favoured by the IMF. At the end of December this was 96%. The figure of 75% includes only liabilities with an original maturity of up to one year; it excludes maturing long-term debt. Our loan-to-deposit ratio covered all commercial and specialised banks and excluded certificates of deposits, the same definition used for all the countries we surveyed. The Bank of Korea’s latest figures show this to be 136% at the end of December.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