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OI 여론조사] 전문가 73% "MB 국정운영 기대 안해"
"6개월 성적표는 100점 만점에 35점"
학계, 언론계 등 정치전문가들의 72.8%가 이명박 대통령의 향후 국정 운영에 기대하지 않는다는 냉소적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2일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에 따르면, 지난 달 20~25일 정치분야 전문가 114명(학계 50명, 언론계 56명, 기타 8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명박 정부의 국정운영에 대해 '기대된다'는 응답은 27.2%(매우 기대 4.4%, 다소 기대 22.8%)에 그쳤다.
반면에 '기대되지 않는다'는 응답은 무려 72.8%(전혀 기대 안한다 21.9%, 별로 기대 안한다 50.9%)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대통령의 지난 6개월의 국정운영에 대한 전문가들의 평가는 100점 만점에 평균 35점에 그쳐 "선방했다"는 자평한 청와대를 머쓱케 했다. 응답자 77.2%는 50점 이하를 매겼다.
연구소는 "100점 만점에 35점으로 나타난 것은 사실상 낙제점에 가까운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부연설명했다.
이명박 정부의 국정운영 문제점으로는 '충분한 여론 수렴 없는 밀어붙이기식 정책 추진'(56.1%)이 가장 많았고, 이어 '외교 안보 등 국정운영 부재'(34.1%), '종부세 완화 등 보수편향적 정책 노선'(3.5%) 순이었다.
전문가들은 향후 국정운영 기조에 대해 80.7%가 '중도 및 개혁 색채 강화'를 조언했다. '보수 색채 강화'는 19.3%에 그쳤다.
이밖에 '공기업 선진화 정책'에 대해선 "잘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비관론이 77.2%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노무현 정부와의 비교 항목에서는 인권, 정권의 도덕성, 언론 자유, 국민들의 살림살이, 남북관계, 한미관계 등 총 6개 항목에서 한미관계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후퇴했다"는 부정적 평가가 앞섰다.
이 중 남북관계에 대한 부정 평가가 87.7%로 압도적이었고, '살림살이가 이전보다 후퇴했다'는 부정평가도 65.7%에 이르렀다. '언론 자유'도 절반이 넘는 50.9%가 "후퇴했다"고 응답했고, 정권의 도덕성(54.4%), 인권(42.1%)의 '후퇴' 응답률도 "향상됐다"는 응답을 앞질렀다.
다만 한미관계의 경우 노무현 정부 당시보다 '후퇴'(23.7%)보다 '향상'(39.5%)됐다는 응답이 많았다.
정당 역할 수행 점수는 한나라당이 100점 만점에 39점, 민주당은 33점이었다.
2일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에 따르면, 지난 달 20~25일 정치분야 전문가 114명(학계 50명, 언론계 56명, 기타 8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명박 정부의 국정운영에 대해 '기대된다'는 응답은 27.2%(매우 기대 4.4%, 다소 기대 22.8%)에 그쳤다.
반면에 '기대되지 않는다'는 응답은 무려 72.8%(전혀 기대 안한다 21.9%, 별로 기대 안한다 50.9%)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대통령의 지난 6개월의 국정운영에 대한 전문가들의 평가는 100점 만점에 평균 35점에 그쳐 "선방했다"는 자평한 청와대를 머쓱케 했다. 응답자 77.2%는 50점 이하를 매겼다.
연구소는 "100점 만점에 35점으로 나타난 것은 사실상 낙제점에 가까운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부연설명했다.
이명박 정부의 국정운영 문제점으로는 '충분한 여론 수렴 없는 밀어붙이기식 정책 추진'(56.1%)이 가장 많았고, 이어 '외교 안보 등 국정운영 부재'(34.1%), '종부세 완화 등 보수편향적 정책 노선'(3.5%) 순이었다.
전문가들은 향후 국정운영 기조에 대해 80.7%가 '중도 및 개혁 색채 강화'를 조언했다. '보수 색채 강화'는 19.3%에 그쳤다.
이밖에 '공기업 선진화 정책'에 대해선 "잘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비관론이 77.2%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노무현 정부와의 비교 항목에서는 인권, 정권의 도덕성, 언론 자유, 국민들의 살림살이, 남북관계, 한미관계 등 총 6개 항목에서 한미관계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후퇴했다"는 부정적 평가가 앞섰다.
이 중 남북관계에 대한 부정 평가가 87.7%로 압도적이었고, '살림살이가 이전보다 후퇴했다'는 부정평가도 65.7%에 이르렀다. '언론 자유'도 절반이 넘는 50.9%가 "후퇴했다"고 응답했고, 정권의 도덕성(54.4%), 인권(42.1%)의 '후퇴' 응답률도 "향상됐다"는 응답을 앞질렀다.
다만 한미관계의 경우 노무현 정부 당시보다 '후퇴'(23.7%)보다 '향상'(39.5%)됐다는 응답이 많았다.
정당 역할 수행 점수는 한나라당이 100점 만점에 39점, 민주당은 33점이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